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서울시, DMC역 구역부터 수색역세권 본격 개발

4개 구역 중 DMC역 구역(3만5천㎡) 선도사업…올 하반기 사업자 선정

김원섭 기자   |   등록일 : 2015-07-28 09:01:01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DMC역 구역 대상지 개요 및 조감도/자료=서울시]

 

서울시와 코레일, 지역구 의원들의 적극적 협력과 이해 속에 20만㎡에 이르는 수색역세권을 서북권 광역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첫 발을 내딛게 됐다. 서울시와 코레일은 총 4개 구역인 수색역세권 개발구역(20만 7천㎡) 중 15%인 ‘DMC역 구역’(3만 5천㎡)을 선도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나머지 잔여 구간은 도시개발사업을 적극 검토해 추진하기로 합의했다고 27일(월) 밝혔다. 4개 구역은 DMC역 구역, 차량기지 이전구역(6만 5천㎡), 수색역 구역(3만㎡), 기타구역(7만 7천㎡)이다.

 

 

우선 DMC역 구역은 오는 30일(목) 코레일의 민간사업자 공모를 시작으로 올 하반기 사업자 선정이 완료되면, 내년부터 사전협상 등 관련 절차를 본격 추진한다. 차량기지 이전구역 등 나머지 구역은 사업 준비단계인 도시개발사업 검토방식을 용역으로 할지, 기타 다른 방식으로 할지 올 하반기 중으로 결정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와 코레일은 27일(월) 「수색역세권 개발의 성공적 추진과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해각서를 통해 서울시는 ▲지구단위계획 및 도시계획시설사업 관련 인·허가 절차와 ▲공공기여 부담방안 결정 등 사전협상에 적극 협조한다. 코레일은 ▲철도시설 점용과 이전에 필요한 관계기관의 협의·지원에 적극 협조하고 ▲토지소유자이자 공동사업시행자로서 사전협상에 성실히 참여한다.

 

한편, 수색역세권 개발개획은 상암·수색지역을 연결하는 남북 연결도로 설치와 3개 노선(경의선, 공항철도, 도시철도 6호선)이 통합된 복합 환승거점 조성으로 상암·수색지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디지털미디어 산업의 중심 거점으로 육성하는 것이 골자이다. 수색역세권은 서울시 도시계획의 근간인 「2030 서울플랜」에서 명시한 7대 광역 중심지 중 하나로, 6호선·공항철도·경의선이 위치한 교통의 결절점이다. 양호한 자연환경과 녹지인프라, 미디어 산업의 집적지인 DMC와 월드컵경기장 등 집객시설이 함께 입지하고 있어 통일 후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서울의 관문으로서 잠재력이 높은 곳으로 평가받는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난항을 거듭하던 수색역세권 개발사업이 서울시와 코레일, 지역구 의원들의 적극 협력과 이해 속에 DMC역 구역을 필두로 첫 발을 내딛게 됐다”며 “수색지역과 상암지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통합, 디지털미디어 산업의 중심공간으로 육성시켜 교통·경제·문화가 어우러진 서북권 중심지로 도약하는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