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안전망 강화…경찰·소방·지자체, 안전서비스 표준화

비효율·중복투자 막고 민간참여·우수 소프트웨어 개발기대

조미진 기자   |   등록일 : 2018-11-30 16:01:50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위급한 재난사고 대비를 위해 지자체·경찰·소방 등의 정보시스템 연계사업에 민간 기업이 참여를 위해 공통 UI(사용자 환경), 운영체제 언어 등이 표준화 된다.

 

30일 국토교통부는 도시 안전서비스에 필요한 표준과 공통 UI를 마련하고, 이날 엘 더블유(LW)컨벤션에서 기업과 지자체 공무원 대상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표준화는 업계 자율성을 보장하고 빠른 기술혁신 속도에 대응하기 위해 단체표준으로 마련했다. , 표준화 과정에는 경찰·소방·지자체와 민간솔루션 기업 등이 참여했다.

 

기존에는 정부 연구개발(R&D)로 개발한 연계서비스만 도시안전망 구축에 활용했으나, 향후 민간기업이 개발한 서비스도 사업 참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런 연계서비스는 대표적으로 112센터 긴급영상 지원, 112 긴급출동 지원, 119 긴급 출동 지원, 재난안전상황 지원, 어린이, 치매환자 등 사회적 약자 지원 등이다.

 


 

국민생명·재산보호 관련 긴급 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지자체, 경찰, 소방 등 국가 재난안전체계의 연계 운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실제로 안전·재난상황 시 핵심수단인 CCTV는 주로 지자체가 보유함에도 경찰·소방당국과 협업체계 부재로 활용되지 못했다.

 

이에 정부는 2015년부터 기관 간 업무협약을 통해 지자체와 112·119 등 공공안전 분야를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으로 연계하는 스마트 도시안전망 구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대전시는 112·119 망 연계로 201715117CCTV 영상 정보를 제공해 2016년 대비 범죄율이 6.2% 감소, 검거율은 2.7% 증가했다. 119는 출동시간이 726초에서 558초로 단축됐다.

 

정부는 2022년까지 기업·혁신도시, 주민 30만 명 이상의 전국 80개 지자체에 도시안전망 연계를 우선추진하며 올해 말까지 22개 지자체의 구축 사업이 완료된다.

 

한편, 민간 업계는 소프트웨어(S/W) 시장 활성화, 지자체 스마트시티 사업참여 등을 위해 통합플랫폼 및 기관 간 연계서비스에 필요한 표준화를 요청해왔다.

 

정부는 이번 연계서비스 표준 마련으로 민간 솔루션기업의 참여가 활성화돼 우수 S/W가 개발되는 등 스마트시티 소프트웨어(S/W)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 공통 UI(사용자 환경)API가 함께 개발돼 112·119 등 기관요구에 맞는 환경 마련과 민간기업의 서비스 개발에 장애가 되는 걸림돌을 없앴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는 도시에서 다양한 서비스 및 시스템 연계를 통해 운영되므로 연계규격, 인터페이스 사양 등의 표준이 반드시 필요하다, “표준화를 계기로 각종 정보시스템의 연계·운영을 촉진하고 침체된 국내 소프트웨어(S/W)산업 활성화, 국민 안전서비스가 한층 업그레이드 되도록 안전기관 간 정보시스템 연계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