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위급한 재난사고 대비를 위해 지자체·경찰·소방 등의 정보시스템 연계사업에 민간 기업이 참여를 위해 공통 UI(사용자 환경), 운영체제 언어 등이 표준화 된다. 30일 국토교통부는 도시 안전서비스에 필요한 표준과 공통 UI를 마련하고, 이날 엘 더블유(LW)컨벤션에서 기업과 지자체 공무원 대상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표준화는 업계 자율성을 보장하고 빠른 기술혁신 속도에 대응하기 위해 단체표준으로 마련했다. 또, 표준화 과정에는 경찰·소방·지자체와 민간솔루션 기업 등이 참여했다. 기존에는 정부 연구개발(R&D)로 개발한 연계서비스만 도시안전망 구축에 활용했으나, 향후 민간기업이 개발한 서비스도 사업 참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런 연계서비스는 대표적으로 112센터 긴급영상 지원, 112 긴급출동 지원, 119 긴급 출동 지원, 재난안전상황 지원, 어린이, 치매환자 등 사회적 약자 지원 등이다.
국민생명·재산보호 관련 긴급 상황 발생 시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지자체, 경찰, 소방 등 국가 재난안전체계의 연계 운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실제로 안전·재난상황 시 핵심수단인 CCTV는 주로 지자체가 보유함에도 경찰·소방당국과 협업체계 부재로 활용되지 못했다. 이에 정부는 2015년부터 기관 간 업무협약을 통해 지자체와 112·119 등 공공안전 분야를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으로 연계하는 스마트 도시안전망 구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대전시는 112·119 망 연계로 2017년 1만5117건 CCTV 영상 정보를 제공해 2016년 대비 범죄율이 6.2% 감소, 검거율은 2.7% 증가했다. 119는 출동시간이 7분26초에서 5분 58초로 단축됐다. 정부는 2022년까지 기업·혁신도시, 주민 30만 명 이상의 전국 80개 지자체에 도시안전망 연계를 우선추진하며 올해 말까지 22개 지자체의 구축 사업이 완료된다. 한편, 민간 업계는 소프트웨어(S/W) 시장 활성화, 지자체 스마트시티 사업참여 등을 위해 통합플랫폼 및 기관 간 연계서비스에 필요한 표준화를 요청해왔다. 정부는 이번 연계서비스 표준 마련으로 민간 솔루션기업의 참여가 활성화돼 우수 S/W가 개발되는 등 스마트시티 소프트웨어(S/W) 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공통 UI(사용자 환경)와 API가 함께 개발돼 112·119 등 기관요구에 맞는 환경 마련과 민간기업의 서비스 개발에 장애가 되는 걸림돌을 없앴다. 국토부 관계자는 “스마트시티는 도시에서 다양한 서비스 및 시스템 연계를 통해 운영되므로 연계규격, 인터페이스 사양 등의 표준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표준화를 계기로 각종 정보시스템의 연계·운영을 촉진하고 침체된 국내 소프트웨어(S/W)산업 활성화, 국민 안전서비스가 한층 업그레이드 되도록 안전기관 간 정보시스템 연계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