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국토부,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 2400가구 선정

24일 지자체 설명회…지자체 수요맞춤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

박슬기 기자   |   등록일 : 2017-03-23 09:28:16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주변지역 정비계획 구상도 및 주요 사업/자료=국토부]

  

국토교통부가 2018년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으로 약 2,400가구를 선정해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오는 24일 대전 유성구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 대강당에서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에 참여할 지자체를 모집하기 위한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은 그동안 임대주택 공급이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지방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을 위주로 150가구 내외의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 장기공공임대주택을 짓는 사업으로, 지자체가 해당 지역에 필요한 임대주택의 유형과 공급호수를 먼저 제안하는 수요맞춤형 공급방식이다.

 

비용부담은 지자체에서 건설사업비의 10% 이상을 부담하고 나머지 건설비용과 임대주택 건설·관리·운영 등은 정부 지원을 받은 사업시행자(LH)가 맡게 된다. 대상지로 선정되면 공공임대주택 건설사업은 물론, 주변의 낙후된 지역의 재활성화를 위한 주변지역 정비계획 수립도 지원받을 수 있다.

 

각 지자체에서는 지자체가 원하는 임대주택의 유형과 호수, 재원분담 방안, 마을계획안 등을 포함한 제안서를 제출하면 LH가 제안서에 대해 사업자 검토의견을 제시, 국토부는 현장조사 결과와 입지 적정성, 수요 타당성 등을 종합 평가해 7월 말까지 사업 대상지를 결정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2015년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매년 공모를 통해 지금까지 33개 마을정비형 사업을 선정·추진하고 있다”며, “올해에도 많은 지자체가 참여해 주민들이 보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누리게 되고 지역공동체에 새로운 활력이 생겨나는 기회를 갖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