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가 소재·부품·장비 테스트베드 공공연구기관과의 간담회를 개최해 소재·부품·장비를 실증·검증·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대폭 확충하고 관련 기업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간담회에 참여한 공공연구기관들은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각 기관의 고유한 영역과 전문성을 살려 기관 간 연계·협력한다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성윤모 장관은 이 자리에서 “기술개발이 생산까지 제대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중간과정에 신뢰성평가, 양산라인 검증 등을 지원하는 테스트베드 확충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공공연구기관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업무협약의 주요내용은 △기관별 테스트베드 확충 및 상호 협력하는 등 테스트베드 강화 △테스트베드 공동구축 등 기관 간 서비스 연계강화 △지적재산권 공유 및 정보기반 축적시스템 구축 등 정보의 개방 △기업의 기술사업화 활성화 등 사업화 촉진 △주요 학술대회, 전시회 등 온·오프라인 공동홍보다.
각 기관별로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기업들의 서비스 수요 내용과 총 250여명에 달하는 우수인력을 중소기업에 1:1 매칭 지원하는 등 서비스 요청 기업들에 대한 기관들의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세라믹기술원은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R&D 인적자원의 역량제고를 위한 ‘기술인삼(人三)서비스’를 소개했다. 전담인력 10명을 활용해 △고(高)기술인력 파견 △재직기술자 역량강화교육 △신규 기술인력 맞춤형 교육·채용지원 등 3가지 인적자원 강화 서비스 제공 계획을 발표했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기관 자체적으로 운영중인 K-STAR기업 육성사업을 통해 박사급 전문연구인력 10명을 중소기업에 1:1 매칭해 기술개발을 전담 지원하고 있는 사례를 발표했다. KTL은 향후 소재·부품·장비 제조기업의 신뢰성 자생력 강화를 위해 전주기 P-QRM(기업역량을 평가하는 신뢰성 프로세스 평가기법)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정부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업 지원서비스와 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촉진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6대 분야 약 250종의 테스트베드 확충을 위해 2020년까지 총 1500억 원 규모를 투자하기로 했다.
정부는 그간 6대 분야를 중심으로 핵심 전략품목과 관련한 테스트베드 67종, 약 100억 원을 추경으로 투자하고, 이를 더욱 확대해 179종 장비 등 테스트베드 구축 예산 1400억 원 규모를 2020년도 예산안에 편성했다.
또 구축된 테스트베드에 중소기업 등 수요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산업부가 구축하는 연구 장비의 관리시스템(e-Tube)을 수요자 친화적으로 개편할 예정이다.
테스트베드 구축과 이를 활용한 연구기관의 서비스 지원을 병행해 정부는 핵심 전략품목과 관련된 지적재산권의 확보, 해외진출까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연계 지원할 방침이다. 신뢰성 검증을 거친 핵심 전략품목에 대해서는 특허청 및 중기부와 협의해 특허바우처, 해외진출바우처를 연계 지원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테스트베드 구축을 통해 수요-공급 기업이 부담을 덜 수 있도록 국내 자제 기술력을 확보하고, 개발된 제품이 생산에 투입될 수 있도록 정책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 2조1000억 원의 소재·부품·장비 특별회계를 편성하고, 소재·부품·장비 특별법도 마련해 협력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도적 기틀을 완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