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문도시 위치도/자료=서울시청]
서울시는 12개 접경지역을 '서울 관문도시'로 규정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계획을 세워 재생하겠다고 22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 50년간 이어진 개발억제정책으로 소외돼 온 도봉·수색·사당 등 서울-경기 접경지역 개발이 추진될 예정으로, ‘보존’ 위주의 서울-경기 접경지역 관리 정책을 ‘보존+개발’의 투 트랙 방식으로 바꾼다는 계획이다.
시가 선정한 12개 접경지역은 도봉·구파발·수색·개화·신정·온수·석수·사당·양재·수서·강일·신내 등이다. 이들 지역은 1970년대부터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한다는 목적 아래 개발제한구역·시계경관지구로 지정돼 개발이 제한됐다.
개발억제정책으로 폐기물·음식물처리장 같은 기피시설과 불법건축물만 난립했고 자연은 자연대로 훼손됐다는 게 서울시 판단이다. 시는 접경도시 재생을 위해 올해 상반기 안에 ‘서울 관문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종합계획(마스터플랜)’ 수립에 착수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방치했던 시 외곽의 소외지역을 지역 특성에 맞게 거점으로 육성하거나 자연성을 회복하려는 것”이라며 “서울의 대표적 현안인 일자리 문제와 주거문제에 대한 좋은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관문도시 개발 과정에서 그린벨트 해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한 뒤 “다만 용도지역 상향 등을 통해 개발 밀도를 좀 더 높일 수 있도록 고민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