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용산4구역, 용산참사 이후 8년 만에 첫 삽 뜬다

주상복합아파트 4개동, 공공시설, 문화공원 등 조성

박슬기 기자   |   등록일 : 2016-11-28 10:30:45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용산4구역 정비사업 현장/자료=용산구]

 

서울의 관문 한강로 주변 개발지역 중 가장 큰 정비구역인 국제빌딩 주변 용산4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이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용산구는 용산4구역 신축현장에서 도시환경정비사업 기공식을 연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06년 4월 용산4구역 도시환경정비구역이 지정된 지 약 11년 만이며, 철거세입자 5명과 경찰 1명이 숨졌던 2009년 1월 ‘용산참사’ 이후로는 약 8년 만의 일이다. 공사는 오는 2020년 6월까지 이어진다.

 

용산역 전면(한강로3가 63-70번지 일대)에 위치한 용산4구역 정비사업 시행 면적은 5만 3,066㎡이며, 이 중 정비기반시설 부담면적 2만 2,672㎡를 제외한 대지면적은 3만 393㎡이다.

 

이곳에는 △주상복합아파트 4개동(31~43층, 1,140가구) △업무시설 1개동(34층) △공공시설(5층) △문화공원 등이 들어선다. 건축면적 1만 8,205㎡, 연면적은 36만 3,437㎡며, 예상 공사비는 약 8천억 원이다.

 

지난해 말 ㈜효성이 정비사업 시공자로 선정됐다. 이후 구는 건축심의, 교통영향분석 및 개선계획 심의, 환경영향평가서 심의 등을 이행하고 지난 9월 최종적으로 사업시행(변경)인가를 했다.

 

서울시와 용산구는 사업의 수익성과 공공성을 모두 확보하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용산역에서 국립중앙박물관까지 이어지는 1.4㎞ 구간의 문화공원·공공보행로와 이벤트 공간, 복지시설 등을 확보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용산구는 용산역 전면 지하공간인 일명 ‘리틀링크’ 개발사업도 진행한다. 용산역 전면 2·3구역 사이 근린공원 예정부지(한강로2가 404번지 일원 1만 2,000㎡)에 지상 공원과 도로를 조성하고, 지하에는 지하광장과 공용주차장, 부대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안타까운 참사와 금융위기로 오랫동안 비어있던 땅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며 “조만간 미군부대 이전이 시작되고 공항철도, 신분당선이 연장 개통되면 용산역 주변은 그야말로 관광과 교통의 중심으로 부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