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록회관 부지 조감도/자료=광주시]
광주시 서구 농성동 상록회관 부지에 고층 아파트가 들어선다. 광주시는 지난해부터 벚꽃 군락지 훼손 우려로 논란이 되었던 상록회관 부지에 지상 29층, 10개 동 842가구 규모의 주택건설사업계획을 최근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초 상록회관 부지에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 신청된 이후 도시계획위원회의 3차례 자문을 통한 종상향 지구단위계획 결정과 경관심의, 건축심의, 교통영향분석 및 개선대책 심의, 개발행위 심의 등을 거쳤다.
시는 환경단체 등이 제기한 벚꽃 군락지 등을 보호하기 위해 사업주체인 농성지역주택조합 측과 오랜 줄다리기 끝에 아파트 건설규모를 당초 1,082가구에서 842가구로 축소하고 공원, 도로 등 공공시설을 9,979㎡로 늘려 현재의 왕벚나무 군락지를 그대로 보존하면서 왕벚나무를 추가 식재하여 근린공원으로 조성 기부채납하도록 했다.
특히, 새로 조성하는 근린공원과 인근 상록공원을 연결녹지로 연계되도록 하고 상록회관 부지 내 많은 수목에 대하여도 착공 전까지 도시공원위원회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TF팀의 자문의견을 반영한 수목보존대책 및 이식계획을 수립해 사업시행토록 사업승인 조건을 부여했다.
수목보존대책 및 이식계획에는 상록회관 부지 내 이식이 가능한 각종 수목들에 대해서도 기부채납되는 공원으로 이식하거나 지정된 장소로 옮겨 심도록 하는 내용을 담도록 해 기존 수목들도 최대한 보존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승인된 아파트 공사가 시작되면 상록회관 일부 모습은 사라지게 되지만 지난 1년 6개월여 동안 환경단체와 시민, 광주시의 수많은 노력 끝에 왕벚나무 군락지가 보존되고 근린공원으로 재탄생해 매년 봄이면 광주 도심 속 왕벚꽃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