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전북도, 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 제출

3개 지구 특화분야 2개 선정, 관련부처 협의 위한 TFT 공식 출범

정진식 기자   |   등록일 : 2015-02-17 11:42:2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1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절차/자료=전남도청]

 

전북도는 13일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종합계획’ 최종안을 미래부에 공식 제출하였다.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전주, 정읍, 완주 등 3개 시·군 일원 3개 지구(융복합소재부품·농생명융합·사업화촉진지구), 총면적 18㎢에 농생명 융복합과 탄소 등 융복합소재부품산업을 특화분야로 선정하여 특구로 지정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2010년 3월에 제출한 전북연구개발특구 육성계획을 보완하여 2013년 10월 미래부에 수정계획서를 제출하였고, 미래부에서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해 전문가 TFT를 만들어 ’14.3∼11월까지 심도 있는 검토를 하였으며, 지난해 11월 13일 미래부 전문가 TFT 최종회의에서 타당성 검토결과 적정하다는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의 타당성과 당위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전북도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신청을 위한 관련행정절차 이행을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개발계획 수립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추진 중이며, 그동안 미래부 전문가 TFT 및 주민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 등을 반영하여 2월 13일 특구 육성종합계획 최종안을 미래부에 공식 제출하였다.


앞으로 올해 2월 말부터 관련기관(국토부, 환경부 등) 협의, 산업입지정책심의회 및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국토부),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미래부) 등의 절차를 거쳐서 ’15년 상반기에는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을 목표로 관련행정절차를 신속히 이행하고 있다.


전북연구개발 특구가 지정되면 이 지역에 있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의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및 창업지원을 위해 매년 국비 100억여 원을 투입하여 2030년까지 8조 6천억 원 정도의 생산유발효과와 2만 1천명 정도의 고용유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되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전북도는 ’15년 내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위해 학계, 관련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지원 TFT를 구성하고 2월13일 11:00 지원TFT 킥오프(Kick-Off) 회의를 개최하였다. 지원TFT는 도 경제산업국장을 단장으로 3개 분과 15명으로 구성하여 특구지정 시까지 운영되며, 3개 분과는 전북특구 지정을 총괄하는 총괄(육성)분과, 개발계획 수립과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용역 수행을 지원하는 개발 분과와 환경 분과로 구분하였다.

 

전북도는 이날 지원TFT 위원들에게 전북특구 지정을 위한 관련부처와 협의과정에서 제기되는 쟁점사항에 대하여 논리개발 및 적극대응 등 각 분과별 역할과 지원 및 협조를 요청하였고, 지원TFT위원들도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하는 등 최근 전북특구 지정에 대한 긍정적인 분위가 TFT회의에서도 이어졌다.


전라북도 이성수 경제산업국장은 “지원TFT회의에 참석한 위원들에게 ’15년 상반기에는 전북연구개발특구가 반드시 지정될 수 있도록 지원과 협조”를 당부하였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1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