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시사터치

철도노조 무기한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시행

광역전철, KTX 중심 운행…정부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 운영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19-11-14 12:00:12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국토교통부는 철도노조가 지난달 11일부터 14일까지 파업을 한데 이어 또 다시 오는 20일부터 무기한 파업을 예고하면서 국방부 등 관계기관과 함께 파업 돌입 시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하고, 오는 19일부터 정부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비상수송대책은 철도노조가 지난 5일 파업을 예고한 후부터 국방부·지자체·철도공사 등 관계기관 및 전국고속버스조합, 전국버스운송사업연합회 등 운송관련단체와 협의해 마련됐다.

먼저 철도공사 직원 및 군 인력 등 동원 가능한 대체인력을 이용수요가 집중되는 출퇴근 광역전철 및 KTX에 집중 투입해 열차운행횟수를 최대한 확보할 계획이다. 광역전철의 운행률은 평시 대비 82.0%지만, 출근 시 92.5%, 퇴근 시 84.2%로 운행한다. KTX 운행률은 평시 대비 68.9%이며, 파업을 하지 않는 SRT 포함 시 고속열차 전체 운행률은 평시대비 78.5%다.

일반열차는 필수유지 운행률인 60% 수준이며, 화물열차는 철도공사 내부 대체기관사 358명을 투입해 평시 대비 31.0%로 운행한다.

파업이 4주차를 넘기는 경우 대체인력 피로도, 운행 안전 확보 등을 감안해 KTX 운행률은 필수유지업무 수준인 56.7%로 낮아지지만, 정상 운행되는 SRT 포함 시 고속열차 전체 운행률은 70.0%다. 광역전철, 일반열차 등은 파업 4주차까지의 열차 운행률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다.

또 그간 평시에 입석을 판매해오지 않았던 SRT는 철도노조 파업에 따른 KTX 운행 축소에 대비해 파업 시작 예정인 20일부터 파업 종료일 다음날까지 열차 좌석을 구매하지 못한 철도이용자를 위해 입석 판매도 시행한다.

버스업계,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대체교통수단도 최대한 활용할 계획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고속버스 탑승률은 약 56%로 일평균 여유 좌석이 약 9만3000석, 시외버스 탑승률은 약 47%로 63만석의 여유가 있어 열차 운행 취소로 인한 대체수요를 상당부분 감당할 수 있다. 대체수요가 여유좌석을 초과하는 경우 전국고속버스조합에서 예비버스(125대)와 전세버스(300대)를 투입해 3만9000석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철도공사 광역전철과 연계 운행하는 1·3·4호선 18회 증회, 예비용 차량 5편성 추가 확보, 시내버스 수요 20% 이상 증가시 버스운행 확대 등을 계획하고 있고, 인천시 및 경기도는 필요시 광역버스 추가 투입, 출퇴근 시간대에 버스를 집중 배차, 예비버스 및 전세버스 투입 등 철도공사 파업에 따른 비상수송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철도공사는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이 확정됨에 따라 모바일 앱, 홈페이지에 운행 취소 열차 및 승차권 반환방법 등을 미리 공지해 혼란을 겪지 않도록 사전 안내를 실시한다.

운행 중지 열차를 이미 예매한 이용자에게 개별적으로 문자메시지도 전송해 다른 시간대 열차를 예매하거나 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특히 모바일 승차권에 운행 중지 사실을 표기해 철도이용자가 열차 운행이 중지된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채 역사로 나오는 일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철도공사 노사가 지난 5월부터 노사교섭을 이어오다가 끝내 교섭이 결렬된 것에 대해 안타깝다”며 “합리적인 대화를 통해 임금 수준, 안내승무원 직접 고용 및 자회사 임금 인상 등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