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러닝, 영상분석 기술로 카메라가 얼굴을 빠르게 인식하자 자동으로 본인 확인 후 사원증 없이 출입구가 개폐된다. 좌석예약시스템을 통해 업무 성격에 적합한 좌석을 선택한 후 착석할 수 있다. 좌석에는 별도 PC본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도킹 시스템에 스마트폰만 꽂으면 모니터에 기존에 작업하던 문서 등이 다시 열리게 되고 다시 업무를 이어서 진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편물이 도착하면 로봇이 좌석까지 배달해준다.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을 이용해 원거리 참석자들과 같은 화면을 보며 회의를 진행하기도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유영민 장관이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과 함께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오피스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앞서 사례는 관계부처 장관들이 경험한 5G 기반 스마트오피스 현장이다.
이번 현장방문은 지난 4월 5G 세계 최초 상용화 이후 100만 가입자를 넘어서는 등 5G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여러 부처 장관들이 혁신성장 가속화 의지를 다지고 5G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특히 5G를 사무환경이라는 매일 접하는 일상에 적용해 직접 체험할 수 있어 눈길을 끌었다.
시연 참석 장관들은 스마트오피스 곳곳에 위치한 5G 적용 서비스를 직접 체험했으며, 흐릿한 사진을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선명한 4K 고품질 사진으로 변환해주는 ‘슈퍼노바 마법사진관’과 e-스포츠, K-POP 공연 등 12개 채널을 한눈에 보고 원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매시브 멀티뷰(Massive Multiview)’도 시연했다.
시연 이후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SK텔레콤의 5G B2B 실제 적용 사례 발표와 5G 확산을 위한 자유토론이 진행됐다.
유영민 장관은 이 자리에서 “5G는 3G, 4G 등 통신기술의 단순 연장선이 아니라 자율주행, 스마트공장 등 새롭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해 내는 원천이자 핵심 근간”이라며 “5G+ 전략을 차질 없이 추진해 우리나라가 B2B 기반 5G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