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지하철 에스컬레이터 IoT기술 도입…수리 시간 34% 단축

IoT센서 고장 부품 즉시 파악, 예방 정비 가능 시스템 구축

유지혜 기자   |   등록일 : 2018-04-17 15:03:4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IoT기술 적용 에스컬레이터 유지관리 과정/자료=서울시]

지하철 에스컬레이터에 사물인터넷(IoT) 기술 적용 후 고장 수리 시간이 34%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10월 서울 지하철 7호선 12개 역 에스컬레이터 100대에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결과 고장 1건당 수리시간이 평균 56분에서 37분으로 37%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장애 경보 발생 건수도 1일 평균 20.5건에서 17.4건으로 15% 감소했다.

IoT기술이 도입된 에스컬레이터에는 20~40여개의 센서가 달려 있어 고장이 발생하면 즉시 고장이 난 부품을 확인할 수 있다. 고장 경보를 접수한 직원은 필요한 장비를 준비해 출동할 수 있어 고장 수리 시간이 대폭 줄어들었다. 

IoT기술이 적용된 에스컬레이터 부착 센서는 모터 과부하 동작센서, 스텝 처짐센서, 역회전 감지 동작센서 등 40여개가 있다.

IoT기술을 통해 수집된 정보는 예방 정비에서 활용된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5호선 광나루역에서 에스컬레이터 구동부의 진동 주파수 데이터를 분석해 고장 발생 전에 모터 베이스를 재고정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공사는 지난 2월 이 진동 분석 시스템을 ‘진동센서를 이용한 에스컬레이터용 안전시스템’이란 이름으로 특허를 출원했다.

공사는 SAMBA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지하철 설비, 전력, 신호제어, 정보통신 영역에 적용해 지하철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인 SCM(Smart Connected Metro)을 완성해 나갈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잦은 고장으로 민원이 발생했던 에스컬레이터 유지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시스템을 도입했다”며 “IoT기술을 연내 에스컬레이터 250대에 적용하고 2022년까지 총 1334대에 도입해 가동률이 5% 증가하고 유지관리 비용도 20%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