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마을 조감도/자료=서울시]
30여 년간 무허가 판자촌이 밀집해 있는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이 2,692가구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로 개발된다. 서울시는 제20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강남구 개포동 567-1 일원의 개포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18일 밝혔다.
구룡마을은 1970~80년대 각종 공공사업으로 생활터전을 상실한 철거민들과 아시안게임·올림픽 등을 위한 건설사업 시행으로 발생한 철거민들이 집단촌락을 형성해 현재 약 1,100여 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화재와 풍수해 등의 재해에 노출돼 있고 오·폐수, 쓰레기 등으로 생활환경이 극히 열악한 지역이다.
2012년 이 일대를 정비하기로 발표한 서울시는 개발방식을 놓고 강남구, 일부 토지주 간 갈등을 겪다 결국 2014년 말 강남구의 주장대로 공영개발을 하기로 결론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결정은 거주민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개발계획에 따르면 구룡마을에는 지상 15~35층 주상복합·아파트 2,692가구가 들어선다. 공공·민간분양 아파트 1,585가구와 공공임대 1,107가구 등이다. 전용면적별 가구수는 △60㎡ 이하 1,948가구 △60㎡~85㎡ 744가구 등이다.
해당 부지는 주거용지 12만 1,165㎡(45.5%), 도시기반시설용지 13만 4,461㎡(50.5%), 기타시설용지(의료&연구용지) 1만 678㎡(4.0%) 등으로 이뤄졌다. 또 단지 내에는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와 주차장(1,602㎡) 1개소를 계획했다.
훼손된 대모산 도시자연공원을 대상지 내에서 근린공원(7만 7,202㎡)으로 조성해 거주민의 산책 등 여가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특히 초등학교(9,877㎡)를 신설할 예정이다.
상류산지 침식이 활발하고 계곡부 기슭 침식 및 황폐화가 진행됨에 따라 방재대책에도 심혈을 기울일 예정이다. △산지사방 5개소 △계류보전사업 5개소 △사방댐 3개소 총 13개의 방재시설을 설치한다.
개발사업의 화두는 거주민 재정착이다. 도시개발사업의 개발이익은 거주민 복지와 자립을 위해 현지 재투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거주민의 연령·세대·소득 수준 등을 고려한 거주민 유형별 맞춤형 주거를 계획했다.
특히 건축 마스터플랜을 통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창업지원센터, 재활용센터, 마을공방, 공동작업장, 공동식당, 공공복합시설 및 단지 내 자족기능과 소득창출이 가능한 일자리 창출 공간 등을 마련한다. 또 거주민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마을카페, 공동체 텃밭, 도서관, 주민체육시설 등 다양한 주민공동이용시설을 도입한다.
도시경관 측면에서는 구룡마을의 낙후된 이미지를 제고하고 매력 있는 도시 조성을 위해 양재대로변은 도시대응형 고층개발로, 배후의 대모산과 구룡산의 산림 경관과 조화되는 친환경적인 단지로 개발하기 위해 자연대응형 저층개발로 계획한 점이 특징이다.
향후 실시계획 단계에서 현상설계 공모를 통해 주거공간 디자인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친환경, 에너지절약 등 관리비가 절감되는 미래 지향적 주택을 검토할 예정이다.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은 2017년 실시계획 인가를 거쳐 2018년 착공해 2020년 말까지 사업을 완료하게 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어렵게 이뤄낸 결실인 만큼 향후 사업시행 단계에서도 자치구, 거주민, 토지주 등과 적극 협력하여 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가급적 추진 일정을 단축, 사업완료 시점을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