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앞 지구단위계획구역 위치도/자료=서울시]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앞 지구단위계획에 묶여 있던 획지계획이 10년 만에 해제된다. 서울시는 제16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동대문구 회기동 60번지 일대(11만 6,073㎡) 경희대 앞 지구단위계획 결정 변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2007년 결정 고시된 경희대 앞 지구단위계획구역은 과도한 획지계획 등으로 인해 계획 실현성이 저조하며, 흥릉 일대 연구단지 조성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지역여건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재정비됐다.
시는 이 일대에 과도하게 설정된 획지계획 및 특별계획구역을 해제하고 인센티브를 통한 자율적 개발을 유도하고자 공동개발을 확대했다. 또 산·학 연계거점 마련하고 학생들의 주거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교육연구시설·업무시설·기숙사 등의 설치를 권장했다.
또 오피스텔의 경우 제3종일반주거지역에는 바닥면적이 3,000㎡ 이하만 건축이 가능하지만 경희대로·회기로·이문로 등 폭 20m 도로변에 면한 필지에는 연면적의 제한 없이 오피스텔이 들어설 수 있도록 용도를 완화했다.
아울러, 지난 2013년 리모델링 활성화구역으로 지정된 구역에 대해서는 기존 건축물의 연면적 30% 범위 내에서 증축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경희대 앞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통해 노후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홍릉 일대 연구단지 등과 연계하여 대상지역을 활성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