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공공디자인

서울시, 어르신 가구에 ‘치매 예방 디자인’ 입히다

3개월 만에 289개 어르신 가구 주거환경 개선에 적용

장희주 기자   |   등록일 : 2016-08-11 09:04:36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치매 예방 디자인 예시/자료=서울시]

 

서울시가 지난 2월 국내 최초로 개발해 내놓은 인지건강 주거환경 디자인, 일명 고령화·치매에 대비하는 디자인이 서울은 물론 전국으로 확산, 어르신 가구의 집수리에 적용됐다. 서울시는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과 손잡고 지난 3개월간 전국의 289개 어르신 가구의 주거환경 개선에 서울시 인지건강 주거환경 디자인을 적용하였다고 10일 밝혔다.

 

서울시가 각 주거지별로 인지건강 주거환경 디자인을 맞춤형 컨설팅하고,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 주거환경 개선에 이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인지건강 주거환경 디자인에 따라 전등 스위치와 전기 콘센트는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벽지와 대비되는 색을 입혔고, 전등은 조도가 높은 LED 조명으로 교체했다. 

 

아울러 화장실에는 변기가 눈에 띄도록 변기 뚜껑을 밝은 색으로 교체했고, 변기와 욕조 옆에는 이동 시 넘어지지 않도록 안전손잡이를 설치했다. 장롱, 수납장, 씽크대, 신발장에는 안에 어떤 물건이 있는지 알기 쉽게 그림과 글씨를 이용한 스티커를 붙였다. 이를 위해 공단은 스티커 45,000장(총 45종)을 별도로 제작했다.


서울시는 하반기 중으로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의 주거환경 개선 240여 가구에 대한 맞춤식 컨설팅을 추가로 진행하여 올 연말까지 총 530가구에 인지건강 디자인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또 인지건강 주거환경 가이드북의 효과성을 평가해 실내 주거환경뿐만 아니라 외부공간, 의료·요양·복지 시설까지 포함하는 ‘인지건강 디자인 종합 가이드북’을 올 연말 제작, 온·오프라인으로 배포할 예정이다.

 

변태순 서울시 디자인정책과장은 “급속한 고령화와 치매에 대비하기 위해 서울시가 국내 최초로 제작, 보급한 인지건강 디자인 주거환경 가이드북이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과 업무협약 체결 후 전국으로 확산 중”이라며 “향후 전문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으로 인지건강 디자인에 대한 인식과 효과성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