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서울시, ‘여성폭력 없는 안전마을’ 전 자치구로 확대

안전마을 14곳(’13년)→ 19곳(’14년) →25곳(’15년) 확대

김원섭 기자   |   등록일 : 2015-05-28 11:20:03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여성폭력 없는 안전마을 선정 현황/자료=서울시]

 

성폭력, 가정폭력 등 ‘여성폭력 없는 안전마을’이 올해 구별 1개소씩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 운영된다. 시는 2013년도 전국 최초로 여성 안전마을 14곳을 선정·운영했으며, 2014년도에는 19곳을 운영했다.

 

‘여성 안전마을’은 주민 힘으로 위험지역 모니터링부터 환경개선, 순찰활동을 펼치며 안전한 마을을 조성하고 시는 이를 행·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상지별로 800만 원씩 총 2억 원을 지원한다. 슬럼화 되어가는 구도심, 빈집들이 있는 재개발 지역 등 여성들에게 취약한 지역의 주민, NGO, 마을 내 경찰, 구청 등이 네트워크를 구성해 사업의 주축이 된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금천구, 성동구, 종로구, 동대문구, 노원구에 ‘우리동네 CPTED’라는 개념을 도입, 적은 예산으로 여성 안전 환경 조성에 꼭 필요한 범죄예방환경을 조성한다. 지역주민, 자원봉사자 모니터링을 통해 ▲사각지대 보조거울 ▲반사 미러시트 ▲특수형광염료 도포 ▲태양광 램프 ▲벽화조성의 5대 요소를 지역 상황에 맞춰 설치하고 정기적 주민 순찰활동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내용이다.

 

[특수형광염료 지역/자료=서울시]

 

15곳은 성폭력 없는 안전마을, 4곳은 가정폭력 없는 안전마을로 조성된다. 1곳은 싱글여성 밀집지역(관악구), 1곳은 유흥업소 밀집지역(중랑구)이다. 2곳은 범죄 취약지역 보안장치를 지원하고, 2곳은 호신술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한편,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성범죄가 발생한 지역 3,719곳을 분석한 결과 대도시 구도심의 성범죄율이 특히 높게 나타났는데, 시야 확보가 쉽지 않은 어둡고 좁은 구불구불한 골목길과 소규모 다세대, 다가구 주택은 범죄에 대한 감시가 어려워 결국 범죄가 발생하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한국형사정책연구원, ’15.3).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여성폭력은 눈에 보이지 않는 만큼 공공의 노력만이 아닌 전 사회적인 관심과 협조 속에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 아래 이번 사업을 확대하게 됐다”며 “여성안전마을은 주민들의 참여로 진행되는 만큼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외부적인 환경개선뿐 아니라 내부적인 주민참여로 더 큰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