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안심귀가스카우트 모습/자료=서울시]
서울시와 서울지방경찰청이 양 기관이 가진 정보와 행정력을 동원해 범죄 취약지역과 범죄 다발 지역을 관리하는 등 범죄로부터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손을 잡았다. 서울시는 시민이 안전한 범죄예방 환경 조성을 위한 서울시-서울경찰청 간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20일 밝혔다.
두 기관은 도시공간에 대한 물리적 설계부터 주민참여, 경찰 출동까지 상호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경찰청은 범죄 다발지역과 112 신고 건수 통계 등 관련 자료를 시에 제공하고 시는 자료를 토대로 도시나 건축물의 설계단계부터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적용한 ‘여성안전마을’을 조성한다.
서울시와 경찰청 범죄예방진단팀은 ‘표준형 비상벨’이나 고화질 폐쇄회로(CCTV)를 설치할 때도 경찰청과 협조해 범죄예방이 필요한 최적지를 선정한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공원·골목길·지하도 등 우범지역에 표준형 비상벨 1,194개를 신규 설치한다. 또 표준형 비상벨이 전국에 확대할 수 있도록 경찰청에 건의할 계획이다.
올 연말까지 고화질 CCTV 291대도 신규 설치한다. 기존 설치된 서울 시내 CCTV 총 3만 4,404대 중 저화질 5,000여 대를 2020년까지 모두 200만 화소 이상 고화질로 교체한다. 지하차도나 터널에 설치된 조명은 내년까지 45곳에 150룩스(lux) 이상 밝기의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으로 바꿀 예정이다.
여성안심지킴이집, 여성안심택배함, 여성안심귀가스카우트 등 시가 각종 여성안전사업을 시행할 때도 경찰청과의 협조를 통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곳을 대상지로 선정한다. 필요 시에는 서울경찰청이 직접 현장에 나가 범죄예방 진단·분석 결과를 시에 제공하고 사업비 범위 내에서 해결방안도 제시할 계획이다.
김정훈 서울경찰청장은 “범죄는 한번 발생하고 나면 피해 회복이 매우 어려운 만큼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면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서울이 안전한 도시로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 기관이 범죄예방 환경 개선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여성·아동 등 사회약자를 대상으로 20만여 건의 범죄가 발생했으며 이 중 서울에서 4만 3,000여건(22%)이 강력·성범죄가 일어났다. 강력범죄와 절도·폭력범죄는 지난 5년간 16.7% 감소했으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는 2012년 1만 9,670건에서 지난해 2만 2,200건으로 5년간 1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