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서울역 ‘도시재생 핫플레이스’ 앵커시설 개관

공연, 강의, 런칭쇼 등 장르와 테마 넘나드는 도시재생 거점시설

정범선 기자   |   등록일 : 2019-11-27 14:14:59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 거점시설 위치도/자료=서울시]

[도시미래=정범선 기자] 서울역 일대 서계·중림·회현동에 새로운 도시재생 핫 플레이스로 떠오를 앵커시설 8개소가 개관된다.

앵커시설은 주민 공동이용 시설을 확충하는 동시에 문화생활에 소외된 지역에 문화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8개 앵커시설은 △전시·판매‧문화활동 복합공간 ‘중림창고’ △청파언덕의 상징인 은행나무가 있는 문화예술공간 ‘은행나무집’ △서울역이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마을카페 ‘청파언덕집’ △공유부엌과 공유서가가 있는 ‘감나무집’ △봉제패션산업 활성화를 위한 민관협력 거점공간인 ‘코워킹팩토리’ △주민 바리스타들이 선사하는 스페셜티 마을카페 ‘계단집’ △목조구조가 눈에 띄는 도시형 마을회관 ‘회현사랑채’ △이욱정PD가 이끄는 쿠킹스튜디오와 음식 관련 교육‧체험 공간인 ‘검벽돌집’이다. 

각 공간은 ‘재생’의 매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일반주택과 건물을 매입했다. 공공건축가가 참여해 저층 구릉지의 장점과 각 공간의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리모델링과 신축을 병행했다.

시설운영은 서울역 일대 지역주민이 공동출자해 만든 도시재생기업(CRC) ‘서울 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과 ㈜요리인류의 컨소시엄(서울역 해피루트456)이 맡는다. 일자리와 수익도 창출, 이 일대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기반이자 주민주도 자립모델로 만들어 나간다는 목표다. 

박원순 시장은 “보행중심의 서울로7017이 주변지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주민들이 필요로 했던 거점시설 개관으로 더욱더 지역경제와 지역공동체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 사업은 서울역, 중림동, 회현동, 서계동, 남대문시장 일대 총 5개 권역(195만㎡)을 아울러 종합재생하는 내용이다. 시는 철도로 단절된 서울역 일대 동-서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2017년 12월 ‘서울역 일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서울로7017을 중심으로 주변지역 재생을 추진하고 있다.

#앵커시설 #도시재생 #핫플레이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