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가 지난해 말 기준 부채가 3조5628억 원으로 전체 자산 대비 부채의 비율이 40%에 달하는 상황임에도 공사의 재정으로 임직원들에게 4452만 원 어치의 휴대폰을 지급하고, 동시에 1억1849만 원의 요금을 대납한 사실이 드러났다.
1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홍철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인천공항공사를 감사한 결과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 2014년부터 올해 9월말까지 사장을 비롯해 임원을 맡고 있는 각 본부장(상임이사)들과 홍보실장 등 일부 직원들에게 공사의 예산으로 갤럭시S10(5G), 갤럭시S10+, 갤럭시노트9, 아이폰XR 등의 휴대폰 45개를 구매해 지급했다.
또 같은 기간 동안 이들 임직원의 휴대폰 요금을 대납한 금액은 2014년 2183만 원, 2015년 2180만 원, 2016년 1900만 원, 2017년 1854만 원, 2018년 1953만 원, 올해(9월말 기준) 1779만 원으로 최근 5년 9개월간 1억1849만 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가 휴대폰 요금을 대납해주고 있는 임직원은 사장, 부사장, 본부장(4명), 감사위원, 홍보실장 등 실장(6명) 등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사장’과 경영본부장(부사장) 등 ‘상임이사’들은 공사 임원으로, 지난해 기준 각각 2억5949만 원, 평균 1억9137억 원의 고액 연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철호 의원은 “이들 임직원들에게 공사의 재정으로 휴대폰을 지급하고 요금을 대납할 수 있다는 공사의 ‘내부 지침’이나 ‘규정’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즉 ‘공식적인 근거’가 없이 임의적으로 휴대폰을 지급하고 요금을 대납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공사는 홍철호 의원의 ‘휴대폰 지급 및 요금 대납의 사유와 목적’에 대한 감사자료 제출 요구에 “경영진의 효율적인 경영활동을 지원하기 위함”이라고 답변했다.
홍 의원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자본금이 3조6178억 원으로 정부가 100%의 지분율을 가지고 있는 공공기관”이라며 “기재부와 국토부는 고액 연봉을 받고 있는 경영진에 대한 휴대폰 지급과 요금 대납이 효율적인 경영활동과 무슨 상관관계가 있는지 기관감사에 착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