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 등록된 인구수가 1000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988년 1000만 명 돌파 이후 32년 만이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처음으로 진입하게 됐다.
서울시는 2018년 말 서울시등록 내·외국인 합산 전체인구는 1004만9607명을 기록했으며, 올해 말에서 내년 초 100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서울시에 주민등록 된 내국인은 976만5623명, 등록외국인은 28만3984명이다.
시에 따르면 서울에 거주하는 내국인은 2010년 이후 꾸준히 줄어든 반면, 외국인은 1995년 4만5072명에서 지난해 기준 6.3배가량으로 증가했다.
시는 최근 3년간 전출자 수에서 전입자 수를 뺀 ‘순전출’ 인구가 평균 8만 명 이상인 것을 고려했을 때 올해 말에서 내년 상반기 즈음 서울시 등록인구가 1000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총인구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총인구는 각각 2028년, 2032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의 인구 감소 최대 요인은 ‘경기도 지역 전출’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에는 46만여 명이 서울로 전입하고 57만여 명이 전출해 순전출 인구는 11만 명이었다. 지난해 서울의 순 전출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13만5216명)였다. 서울에서 경기로 간 인구는 36만8536명이었고, 경기에서 서울로 온 인구는 23만3320명이었다.
시에 따르면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서울의 인구 감소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물은 결과 ‘영향 없다’ 39.6%, ‘부정적’ 37.9%, ‘긍정적’ 22.5% 순으로 응답했다.
인구 감소로 인해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 주거(43.1%), 교통(37.9%), 교육(30.0%)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인구 감소가 지속될 경우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된 분야는 사회(60.9%), 복지(59.4%), 국방(47.5%), 경제(47.0%) 분야 순이었다.
시는 또 지난해 서울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이 141만297명으로 전체의 14.4%를 차지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05년 ‘고령화 사회’(7%)에 진입한 후 14년 만이다.
유엔은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총인구의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한다. 이 같은 노령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2026년 ‘초고령 사회’(20% 이상)에 진입할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전국 총인구 수 5182만6059명 중 65세 이상 인구는 765만408명으로 인구비는 14.8%다. 17개 시·도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비로 서울은 10위를 차지했다. 가장 비율이 높은 곳은 전남(21.9%), 가장 낮은 곳은 세종(9.3%)이었다.
서울시 인구의 자연 증가(출생자에서 사망자를 뺀 수)는 1992년 14만4835명에서 지난해 1만2700명으로 급격히 줄었다.
시는 이번 조사‧분석 결과를 올 연말까지 매월 공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2018년 말 서울시가 고령사회에 첫 진입했고, 올해 말~내년 초 서울시 인구가 1000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급격한 인구 변화에 따라 행정 수요도 가파르게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