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정부가 전문가, 관련 산업계관계자들과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한 논의 자리를 가진다.
국토교통부는 19일 14시 서울 임페리얼팰리스 호텔에서 ‘자율주행 미래 발전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심포지엄은 ‘자율주행차 융복합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과 ‘자율협력주행 산업발전 협의회’(이하 협의회) 활동의 일환으로, 자율주행차 관련 향후 주요이슈를 논의하기위한 자리다.
심포지엄에서 미래포럼과 협의회는 올해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논의·토론을 진행한다.
먼저 미래포럼은 전문가논의를 거쳐 마련된 ‘자율주행차 제작 가이드라인’ 초안을 발표한다. 가이드라인은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시 고려해야 할 안전요소를 시스템, 주행, 운전자 안전3개 부문으로 제시했으며, 운행 전 자체 안전평가를 시행을 권고하고 있다. 규제보다 기술개발의 지침 역할을 한다.
또 자율주행차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체계 구축, 자율주행 대중교통 도입에 필요한 민관 역할분담, 자율협력주행 연구 및 인프라 도입방안을 발표하고 토론한다.
협의회는 정부와 기업이 협업해 전국 모든 도로에 정밀도로지도를 구축하는 방안을 발표한다.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기반시설로, 정부는 2019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5000km에 이를 구축할 예정이다.
협의회는 향후 지방도와 국도에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도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민관 협업체계 구축방안을 관련 기업들과 논의해 제시한다.
또 의견수렴을 거쳐 보완한 스마트도로(C-ITS) 표준 및 인증제도의 최종안을 발표했으며, 관련 제품의 호환성·성능 확보를 위해 민간 단체표준 등으로 운용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구·논의 결과를 적극 검토해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전문가 기구인 미래포럼, 산업계 협력의 장인 협의회가 자율주행차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