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지난 5일 자율주행 리빙랩, 화성에서 첫 삽

레벨 4(Lv.4) 이상 자율주행 연계 실증

김창수 기자   |   등록일 : 2024-12-09 10:48:10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율주행 리빙랩(화성시) 사업구간 <출처 : 국토부> 

 

국토교통부는 지난 5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체육공원에서 자율주행 리빙랩 착공식을 개최했다.

 

착공식에는 전형필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 정명근 화성시장,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리빙랩 구축 사업시행자인 SK텔레콤롯데이노베이트 컨소시엄 등 관계기관 주요인사 및 지역주민 약 3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아울러, 착공식에서는 그간 연구기관들이 자율주행 기술개발을 통해 제작한 자율주행 8대 공공서비스 차량도 최초로 함께 전시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리빙랩은 자율주행 범부처 연구개발(R&D, 2021~2027, 1.1조원)를 통해 개발된 자율주행 기술과 공공서비스를 도시 공간에서 통합 실증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도시공모를 통해 화성시가 선정(2023.10)됐고, 이번 착공을 시작으로 20263월까지 리빙랩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후 2027년 말까지 약 2년간 운영한 후 자율주행 기술과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시킬 계획이다.

 

이번에 화성시에 도시단위로 조성되는 자율주행 리빙랩은 국내 최대 규모이며, 실제 도로에서 자율주행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를 지원하는 첨단 테스트베드로 기능할 것이다.

 

자율주행 리빙랩은 단순한 기술개발을 넘어 기술의 효과성안전성을 검증하고 시민에게 일상에서 자율주행 공공서비스를 직접 체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상용화의 기반을 다지고, 정부지자체연구기관기업시민들이 함께 참여하여자율주행 기술서비스의 지속적 고도화와 상용화 완성을 위한 협력 플랫폼으로 구축운영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리빙랩을 운영하는 지자체에는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 신산업 창출, 신규 일자리 확대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도 기대된다.

 

전형필 국토교통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전통적인 자동차산업이 로봇산업시대로 전환하는 시점에서 자율주행차는 정보기술(IT)이 결합된 대표적인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 하면서 이번 자율주행 리빙랩 착공을 시작으로 자율주행 상용화가 조속히 실현되어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지원, 제도 개선, 관련 인프라 구축 등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