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지구 Brand New City 특화구상안/자료=LH]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LH는 사람이 중심되는 계획·관리를 통한 Brand New City로 신규 공공주택지구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17일 LH에 따르면 Brand New City는 도시민의 생활트렌드 분석해 계획 초기단계부터 시민 니즈를 반영하고 건축계획과 입체적 도시공간계획을 함께 수립, 보행이 즐거운 Walkable-Community(워커블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또 중앙공원에 도서관, 국공립 어린이집 등 생활SOC 확충으로 주민편의를 우선한 보행중심 도시로 조성된다.
Walkable-Community는 젊은 층 위주의 행복주택, 신혼희망타운 등을 연접배치하고 인근에 공원, 학교, 어린이집 등 육아지원시설, 편익시설까지 보행특화생활권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중심상업지역에는 상가건축물 디자인 향상을 위한 BA제도(Block Architect, 블록건축가)가 도입된다. 상가지역 전체디자인 설계부터 랜드마크형 건축물 건축까지 체계적 관리로 도시 미관을 증진시키고 공공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BA제도는 상업지역 대한 디자인 향상계획을 수립해 지구단위계획에 반영하고, 건축설계 및 공사 시 필수적으로 BA자문을 거치도록 하는 건축관리 제도다.
소형 상가지역은 주차장 출입구 확대, 쓰레기 처리시설 의무화 등 강화된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하게 된다.
LH는 최근 문제가 되는 도심지역 상가공실 해소를 위해 소비패턴 변화를 반영한 상업시설 계획기준을 마련하고, 적정량 상가를 순차 공급하는 등 사회적 가치 중심의 사업관리를 시행한다.
이에 사회적 가치 구현 사항을 진단·평가하기 위해 자체개발한 SVI(Social Value Index, 사회적 가치지수) 지수를 적용한 사업관리방안을 새롭게 정립해 공공성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사회적 가치지수는 사회적 약자지원, 일자리창출, 중소기업상생협력, 지속가능환경조성, 주민의사결정 등 개발사업 전 과정에서 사회적 가치 구현사항을 계량화하는 것이다.
또, 공공주택지구 내 자족용지 등을 활용한 청년창업지원플랫폼으로 청년주거와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 도심지 내 주차장 건설로 공공성을 확보하며 공공임대형 상가를 공급해 사업 초기 입주민의 생활불편 해소 등 공공기반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LH는 현재 계획을 수립중인 구리갈매역세권 등 신규 사업지구에 Brand New City 개념을 도입한 입체적인 공간특화계획을 사업계획에 반영했으며, 성남 금토 등에 입체적 특화설계 공모를 시범시행하는 등 새 도시개발체계를 구축 중이다.
박상우 LH 사장은 “LH 경영의 근본원칙은 공공성을 강화해 국민 신뢰를 얻는 것이다”며, “사회적 가치로 더 많은 공공이익을 창출하는 Brand New City가 기존 도시의 문제점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