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서울시, 미세먼지 저감위해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보조금 주는 방식으로 노후 경유차의 폐차 유도

조미진 기자   |   등록일 : 2018-11-20 15:36:57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서울시가 경유차 저공해 사업을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큰 조기폐차를 중심으로 개편한다. 

20일 시는 현재 조기폐차와 매연저감장치(DPF) 부착 사업을 병행하고 있으나 내년부터는 조기폐차 목표치를 올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4만대로 늘리는 등 조기폐차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폐차 보조금을 주는 방식으로 노후 경유차의 폐차를 유도한다. 2002년 6월 이전에 등록된 경유차가 조기폐차 대상이다. 같은 해 7월 이후 차량 중 영업용 화물차와 생계형 차량은 장거리 운행, 차량의 내구성(의무이행기간 2년)을 감안, 노후화정도가 약한 차량에만 저감장치를 부착한다. 

2005년 이전에 등록된 노후 경유차 소유자는 조기폐차와 매연 저감장치 부착 시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조기폐차는 2.5t미만 최대 165만 원, 3.5t 이상은 440만 원~770만 원이다. 매연 저감장치 부착 보조금은 운행경유차가 326만 원~927만 원, 건설기계는 666만 원~934만 원 지원 받을 수 있다. 질소산화물 저감 보조금은 PM-NOx가 1305만 원~1462만 원, 건설기계 엔진교체 비용은 1002만 원~2526만원 지원된다. 

시 관계자는 “그간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등 저공해사업을 추진해 시의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이 줄고 농도가 개선되는 등 큰 효과가 있었다”며 “노후 경유차의 획기적 감축을 위해 폐차지원금을 높이고, 공해차량 운행제한 지역을 수도권으로 확대하는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올해 1~10월 노후 경유차 2만1986대의 조기폐차를 지원하고, 7372대에 매연저감장치를 부착했다. 77대에는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동시 저감장치 부착을 지원했다. 

시에 따르면 이로 인한 초미세먼지 저감효과는 57.64t, 1군 발암물질 질소산화물(NOx) 저감효과는 702.45t 등이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