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촉매 시험포장 구간 및 고정식 대기측정소/자료=서울시]
[도시미래=전상배 기자] 미세먼지의 원인인 질소산화물을 분해하는 도로포장 신기술이 도입됐다.
서울시는 28일 오전 1시 강남대로 양재역 일대 왕복 8차로 구간(150m)에 광촉매 시험포장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도로 포장면에 광촉매를 뿌려 자동차 배기가스의 주성분인 질소산화물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도로 위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촉매는 빛을 받아들여 질소산화물 등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빨아들이는 등 정화기능을 가진 촉매다. 대기정화, 항균, 탈취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도로포장에서 적용하는 것은 이번이 국내 최초 시도다.
대기정화를 위한 도로포장 분야 광촉매 적용은 이탈리아, 벨기에, 일본 등 해외 주요 국가에서는 2000년대 이후 활발히 추진돼 왔다. 국내에선 지난 2010년 이후 일부 콘크리트 도로시설물에 시범 적용됐지만, 아스팔트 포장에는 초기 연구단계 수준이라고 시는 전했다.
시는 앞으로 양재역 일대에 설치된 대기측정기로 미세먼지 농도를 모니터링하고, 포장면의 미끄럼 저항과 눈부심 현상도 조사해 올해 말 미세먼지 저감효과 등 검증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미세먼지 유발물질을 줄이기 위해 도로포장에 신기술을 도입해 시도하게 됐다”며 “시험포장 구간에 지속적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효과검증 후 단계별로 확대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