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북구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 구상도/자료=대구시]
대구시가 서·북구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대구시는 최근 ‘경제·교통·문화 허브 조성을 통한 서·북구 재창조 사업’이 마지막 절차인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착수한다고 12일 밝혔다.
경제·교통·문화 허브 조성을 통한 서·북구 재창조 사업은 과거 대구와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을 견인했던 도심 노후산단인 서대구·염색·제3산업단지와 주변지역 일원(9.3㎢)에 산업 경쟁력 강화, 행복한 일터 조성, 행복한 공동체 형성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오는 2021년까지 국비 220억 원을 포함해 사업비 500억 원을 투입해 산업지원 앵커시설 건립, 주민·근로자 복지지원시설 설치, 청년층의 주거 지원을 위한 행복주택 공급 등 경제·사회·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한다.
세부 사업으로는 △전시·홍보·창업·비즈니스 거점을 조성하는 미래비즈니스발전소 △섬유와 안경 등 지역 전통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연구개발공간과 기술창조발전소 △안경특구 내 환경친화적 안경테 표면처리센터 등 산업지원 앵커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또한 △행복나눔발전소 △청년층에게 저렴한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행복주택(40가구) △주민 안전을 위한 보안센터,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행복빌리지 등 복지지원시설도 만든다.
이와 함께 ‘서대구 KTX역 건립’, ‘노후 산업단지 재생사업’, ‘물 없는 컬러산업 육성사업’ 등 총 6,200억 원 규모의 15개 부처협력사업과 ‘농수산물비축기지 내 서대구산단 복합건축사업’, ‘복합환승센터 건립 및 역세권 개발’ 등의 다양한 민간참여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부처협력사업 및 민간참여사업과 연계 추진함으로써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이 기존 사업의 기폭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대구에서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딘 대상지 일원을 경제·교통·문화 허브로 조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