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광역철도 계획도/자료=대전광역시]
대전시는 지역의 숙원사업인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건설사업이 25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충청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은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된 논산~대전~청주공항(106.9㎞) 노선 가운데 수요가 많은 계룡~신탄진 구간(35.2㎞)을 먼저 추진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 2,107억 원이 투입되며 2016년 기본계획을 착수해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차역은 모두 11개 역으로 계룡·흑석·가수원·서대전·회덕·신탄진역 등 기존 6개 역이 전철역으로 개량되고, 도마·문화·용두·중촌·덕암 등 5개 지역에는 역이 신설된다. 특히 1호선과 광역철도가 교차되는 계룡육교 부근에는 1호선 지하역과 광역철도 지상역이 동시에 신설됨으로써 두 노선 간 환승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부선 구간의 선로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차장~회덕(4.2㎞)을 2복선으로 증설하고, 회덕~신탄진(5.6㎞) 구간에 단선을 추가하는 내용이 포함됨에 따라 향후 이용수요 증가에 맞춰 배차간격 조정 등 운행 횟수 확대도 용이해진다.
광역철도가 완공되면 사실상 도시철도 기능을 하게 돼 도시 외곽에서 대전 중심으로의 접근시간도 획기적으로 단축된다. 계룡에서 신탄진까지 버스로 종전 1시간 40분에서 30분으로 단축되고, 신탄진에서 둔산 지역까지는 버스로 45분이 소요됐으나 광역철도와 도시철도로 환승하면 25분 내로 접근이 가능해진다.
대전시는 광역철도 기본계획이 착수되면 사업계획 보완을 검토하고 운영주체와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며, 또한 2호선 트램 사업도 탄력을 받게 됨에 따라 두 사업을 상호 보완적인 수단으로 연계해 친환경 철도중심의 대중교통체계를 구축해나가는 데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