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마포구 서교동에 들어서는 1호 토지임대부 공동체주택 조감도/자료=소행주]
서울시가 민간과 협력해 개인주거공간과 공동생활공간이 공존하는 다양한 유형의 ‘공동체주택’ 활성화에 나선다. 공동체주택은 가구별로 독립적인 주거공간을 가지고 있으면서 거실·부엌·실내외 커뮤니티 시설 등을 공유하는 주거형태로 입주자들이 서로 공동체를 이루며 보육·교육 등 생활문제를 함께 해결나가는 것이 특징이다. 거실 등을 공유해 주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공동체를 통해 시민들 스스로 1인가구의 한계점을 해결해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시는 7일(월) SH공사, 사회주택협회 등 7개 기관·단체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어 ‘공동체주택 종합계획’ 마련을 위한 공동체주택 관련 단체, 시민 등과 공동체주택 희망담론 나누기 한마당을 개최한다.
먼저 업무협약을 통해 서울시와 7개 기관·단체는 공동체주택 활성화를 위해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을 강화하고,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공동체주택 발전방안 및 새로운 주거문화 확산방안 등을 지속적으로 발굴 추진한다. 희망담론 한마당에서 마련하게 될 ‘공동체주택 종합계획’에는 공동체주택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 실행방안으로서 행·재정지원, 제도개선, 확산방안, 민관협력체계 구축 등을 담을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번 희망담론 한마당에서 공감대가 형성된 다양한 의견들을 추가 검토하고 반영해 민간과 공공이 함께하는 새로운 주거문화와 가치를 담은 최종 종합계획을 마련해 오는 10월 말 경 발표한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현재 SH공사와 협력해 노후 매입다가구 주택 2곳을 시범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시범사업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공동체주택은 주거비용을 줄이면서도 이웃과 다양한 생활문제들을 공동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장점을 가진 주거유형”이라며, “희망담론 한마당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새로운 주거문화를 조성·확산할 수 있는 공동체주택 종합계획을 완성하고 활성화 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