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두천시 지행동 도시숲/자료=경기도]
- 도, 명품도립공원 조성, 녹지공간 확충 위해 428억 투자
- 도시경관개선 위한 가로수 길 조성, 녹색일자리 창출 등에도 힘쓸 것
경기도가 명품도립공원 조성과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녹지공간 확충 사업에 428억을 투자할 계획이다. 도는 27일 명품 도립공원 조성을 목표로 남한산성과 연인산, 수리산 3개 도립공원에 107억원을, 1인당 공원면적 9.0㎡ 조성(세계보건기구 기준)을 목표로 도심 내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녹지공간 확충에 321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명품도립공원 조성을 위해 연간 337만명이 찾는 대표적 명소인 남한산성 도립공원에는 우량 소나무림 보전사업, 탐방로 정비, 노점상 불법행위 단속 및 정비 사업 등을 진행하며, 연인산도립공원에는 경관 및 생태계 보존을 위해 용추계곡의 친환경 복원을 목적으로 토지매입을 추진한다. 수리산도립공원에는 쾌적한 휴양공간을 만들기 위해 탐방안내소 신축, 야생초화원 신설, 기타 편익시설을 조성한다.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녹지공원 확충을 위해 군포 초막골근린공원, 남양주 늘을중앙공원 등 도심공원 12개소 106만 2천㎡를 조성하고, 도심 자투리땅 70개소에 쌈지공원을 조성한다. 사회복지시설 10개소에는 나눔숲 조성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도시경관개선을 위해 도내 24개 시·군에 총 길이 62km 규모의 가로수 길을 조성하고 도시녹지관리원 25명, 명상숲 코디네이터 10명을 채용하는 등 녹색일자리 창출에 힘쓸 예정이다.
이세우 경기도 공원녹지과장은 “도립공원은 다시 찾고 싶은 명소로 조성하고 도시공원, 쌈지공원 조성 등으로 도심 속 건강·휴식공간 제공, 환경복지,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녹지 확대로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공원녹지 주요정책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공원조성 및 운영 관리비용의 효과적 사용과 절감방안을 제시하기 위한「2030 경기도 공원녹지 비전과 전략 수립」연구 용역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에 수반하는 위치정보 기반의 공원관리시스템의 필요로 공원녹지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전국 최초로 추진한다.
![]() |
[파주시 파주읍 쌈지공원/자료=경기도]
- 도, 녹색복지 실현 위해 산림사업에 1,124억 원 투자
- 산림휴양·복지시설 확충,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등 21개 사업 진행
경기도는 27일 축령산자연휴양림에서 시·군 산림 및 공원녹지 관계자와 산림조합, 양묘협회, 사방협회 등 유관기관에서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금년도 산림·공원녹지 분야 시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도는 녹색성장대비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맞춤형 산림복지시스템 구축, 산림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강화, 산림일자리 창출에 총 1,124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도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 묘목 생산과 1,020㏊ 조림사업에 57억 원, 10,200㏊ 규모 숲가꾸기 사업에는 154억 원, 임도(197㎞)의 신설, 보수, 구조개량 등에 91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산림복지시스템 구축을 위한 산림휴양시설 확충 사업에 91억 원, 숲길 112㎞ 조성 사업에 34억 원, 임산물의 안정적 생산기반 조성 및 유통시설 확충 사업에 45억을 투자한다.
이상기후로 인한 산림재해 최소화를 하고자 생활권 산사태취약지역 사방댐 100개소, 산지사방 6ha 조성 사업에 214억 원, 산불진화헬기 임차 17대, 산불진화장비 구입 등 산불방지 사업에 107억 원, 소나무재선충병 등 산림병해충 적기방제 체계 강화에 76억 원을 투자한다. 산림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5㏊ 규모 중국 쿠부치 사막화방지 조림사업에 1억 원, 목재펠릿보일러 205대 보급, 목재산업시설 2개소 현대화 등 산림바이오매스 연료화 6개 사업에 15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또한 산림서비스도우미·산불감시원·산불예방전문진화대 운영, 공공산림가꾸기 사업 등에 236억 원을 투자, 2,435명을 고용해 청년과 소외계층에 힘이 될 수 있는 녹색일자리를 제공할 계힉이다.
서상교 도 축산산림국장은 “금년도 산림시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관련기관 및 유관단체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이 필요하다”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탄소흡수원으로서 산림의 가치 제고와 녹색복지 실현을 도민중심으로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