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도심 속 녹지공간의 수직화’ ①

수직정원의 정의 및 유형

공태윤 기자   |   등록일 : 2024-10-25 16:53:04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수직정원 <출처 : 나무위키> 

 

수직정원(Vertical Garden)은 건물의 외벽 또는 실내 벽에 수직적으로 설치된 식물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원은 수평 공간이 부족한 도심에서 녹지 공간을 확장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주거용 건물, 상업용 빌딩, 공공시설 등 다양한 공간에서 설치될 수 있으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경우 녹색 벽(Green Wall)이라고도 한다.

 

1. 기본 정의와 구성

수직정원은 식물이 땅이 아닌 벽면에서 자랄 수 있도록 특수한 구조물과 기술을 이용해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식물을 심을 수 있는 모듈형 구조,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개 시스템, 그리고 빛을 공급하는 조명 시스템 등으로 구성됩니다

 

수직정원은 식물이 땅이 아닌 벽면에서 자랄 수 있도록 특수한 구조물과 기술을 이용해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식물을 심을 수 있는 모듈형 구조,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개 시스템, 그리고 빛을 공급하는 조명 시스템 등으로 구성 된다.

 

2. 수직정원의 유형

수직정원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1. 자생형 수직정원(Living Wall): 벽면에 직접 설치된 구조물에 식물을 심고, 이를 유지하기 위한 관개 시스템을 포함한 형태이다. 벽면에 고정된 화분이나 모듈 시스템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하여, 자연 생태계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한다.

 

2. 그린 파사드(Green Facade): 건물 외벽에 덩굴식물이나 클라이밍 식물을 심어, 자연스럽게 벽을 타고 올라가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유지 관리가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3. 기술적 구성 요소

수직정원은 단순히 식물을 심는 것 이상으로, 건축적, 기술적 시스템이 결합된 복합적인 구조물인데,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지지 구조물: 식물과 토양을 고정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여, 식물들이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한다.

 

2. 관개 시스템: 물과 영양분을 균일하게 공급하는 자동화된 관개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어,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수직정원의 식물을 관리할 수 있다.

 

3. 필터링 시스템: 대기 중 오염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하며, 일부 수직정원은 공기 정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높은 식물을 포함하기도 한다.

 

5. 설계 및 시공 과정

수직정원의 설계는 그 설치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1. 건물의 위치와 환경 분석: 설치 장소의 햇빛, 바람, 습도 등 자연 환경을 분석하여 적절한 식물 선택 및 시스템 설계를 진행한다.

 

2. 식물 선택: 환경에 맞는 식물을 선택합니다. 실내의 경우 음지에서 잘 자라는 식물을 선택하고, 외부의 경우 내구성이 강한 식물을 사용한다.

 

3. 구조물 설치: 식물과 토양을 고정할 수 있는 모듈형 패널 또는 트레이 시스템을 설치합니다. 이는 벽면에 고정되며, 안정적인 식물 생장을 위해 튼튼한 구조를 사용해야 한다.

 

4. 관개 및 배수 시스템 설계: 자동화된 관개 시스템을 통해 일정한 수분과 영양소 공급을 유지하며, 배수 시스템을 통해 과도한 물의 유출을 방지한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