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질병관리본부는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국토부·과기정통부에서 R&D 사업으로 개발 중인 스마트시티 기술을 활용해 오는 16일부터 역학조사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11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코로나19의 확산방지를 위해 확진자에 대한 면접 조사 등 역학조사로 발병 위치·전파경로를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경북 지역 대규모 확진자 발생으로 역학조사관 업무가 폭증함에 따라 대규모의 데이터를 신속·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한 전산 지원 시스템 도입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국토부는 질병관리본부와 협의해 대구·시흥시에서 연구개발 중인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를 활용한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질병관리본부에서 확진으로 판명된 환자에 한정해 이동 경로 등을 지도 위에서 확인하고 관련 통계정보로 코로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3월 초 개발해 시범운영을 거쳐 16일부터 질병관리본부에서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역학조사의 범위 내에서 활용하고 감염병 위기대응단계를 고려해 한시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기반이 되는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플랫폼은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R&D(2018~2022년)’로 개발한 대규모 도시데이터 분석 도구로 교통·에너지·환경·안전 등 도시 내 각 분야의 다양한 빅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4차 산업시대에 필수적인 융·복합 데이터를 창출하고 스마트시티 서비스 구현에 활용된다.
2018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올해부터는 대구광역시 및 경기도 시흥시를 대상으로 데이터허브를 구축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국토부·과기정통부·질병관리본부는 이 시스템을 이번 코로나19 대응에 우선 적용하고 향후 감염병 역학조사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전 부처적인 협력이 중요한 시점인 만큼 스마트시티 기술들을 적극 활용해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데이터에 기반한 신기술·산업창출을 통한 국민안전과 경제 활성화 제고에 노력을 매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신기술 #산업창출 #역학조사 #공동구축 #스마트시티 #확산방지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