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민 우려를 고려해 정부 R&D 투자방향을 논의하는 공청회를 온라인을 통해 개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5일 2021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마련을 위한 온라인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매년 수립하는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은 다음해 정부연구개발(R&D) 중점 투자분야 및 효율화 방안, 기술분야별 세부 투자전략 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투자방향은 각 부처의 다음 해 연구개발(R&D) 예산 요구의 기준이 된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민 우려를 고려해 온라인 방식으로 공청회를 열기로 했다.
PC 또는 모바일을 통해 공청회 채널에 접속하면 인터넷 라이브 스트리밍 방식으로 공청회를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온라인 게시판을 통한 질의응답도 가능하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투자 방향으로 △혁신 주체의 연구역량 강화 △경제성장 기반 확충 △삶의 질 개선 등 3대 기본방향을 제시했다.
혁신 주체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연구자 중심의 기초연구 투자와 신진 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연구기관의 핵심 역량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또 연구개발특구·규제자유특구·혁신클러스터 등의 거점을 지역 신산업 발굴·육성의 허브로 지원하고, 중소기업의 기술 역량에 따라 맞춤형 지원도 시행하기로 했다.
경제성장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DNA(Data, Network, AI), 정보보호 및 BIG3(바이오헬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집중투자하고, 소재·부품·장비 기술 내재화를 지원한다.
국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신종 감염병 등 신종재난의 예측·예방을 위한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자율과 협업 기반의 투자를 강화하고, 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투자시스템 고도화를 추진한다. 특히 올해에는 부처간, 연구기관간 협업을 강화하기 위하여 협업사업을 통합하여 별도로 심의하고, 협업 이행 수준을 고려하여 예산을 배분‧조정할 예정이다.
한편 공청회는 1, 2부로 진행되며 1부는 투자방향안 전반에 대한 과기정통부의 안건 발표 후 패널토론 및 방청객 질의가 이어진다. 2부는 공공‧우주, 에너지‧환경, ICT‧융합, 기계‧소재, 생명‧의료, 기초‧기반 등 6개 기술 분야별 세부 투자방향 발표 및 심층토론 순서로 진행된다.
#코로나19 #투자방향공청회 #연구개발 #온라인공청회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