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건축에서 환경보호를 실천하다’ 환경 친화적 건축 사례②

혁신적 형태와 실용적 공간 런던시청 ‘City of Melbourne’

이은주 기자   |   등록일 : 2020-02-21 17:46:24

좋아요버튼4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런던시청 외부 이미지/자료=런던시청 홈페이지]

 

 

최근 건축계에서 관심을 끄는 화두 중 하나가 지속가능성이다. 노먼 포스터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대중들에게 알려지기 전부터 구조의 경제성, 패시브 에너지 전략, 거주자 생활 중시 디자인의 일관성을 보여주었고, 현재 혁신적인 작업과 생태학적인 건축물에 대한 접근으로 지속가능한 건축을 구체화하는 세계적인 건축가로 알려져 있다.

 

노먼 포스터의 가장 큰 특징은 하이테크와 자연광이다. 하이테크란 최신 기술과 재료를 활용해 건축 디자인을 실현하는 것으로, 그는 유리, 철, 알루미늄 자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구조와 설비를 노출시키는 디자인을 선보였다.

 

노먼 포스터가 설계한 런던시청은 혁신적인 형태와 실용적인 공간 구성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건축물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높이 45m로 총 10층의 건물이며, 건물외벽은 유리로 되어있다. 기울어진 달걀 형태의 유리건물로 ‘유리달걀’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런던 시청은 독특한 외형과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는 친환경 시스템이 적용돼 있는 건축물로써 런던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런던시청 내부 이미지/자료=런던시청 홈페이지]

 

 

친환경 시스템 중 첫 째로 기울어진 구체 디자인 설계다. 일반적인 육면체 건물에 비해 전면부와 후면부의 구분이 없는 구형은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줄어드는데 런던 시청의 경우 약 25%까지 감소시켰다.

 

유리 외벽의 특성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게 설계돼 남쪽으로 기울어진 외관 덕에 자연적으로 그늘이 생겨나 실내 온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본다. 즉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자연광을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자연 채광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소비율을 줄이는 실용적 기능과 함께, 공공 행정의 투명성까지 함축한 것이다.

 

두 번째로 태양광 시스템이 도입된 건물 지붕을 말할 수 있다. 대부분의 친환경 건물들과 마찬가지로 런던시청 또한 태양광 에너지를 재사용한다. 완공 후 2007년 건물 지붕에 태양 전지 패널을 설치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더욱 높였다. 이 태양광 패널은 런던시청의 탄소 배출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마지막 시스템은 HVAC(공조 시스템)친환경 기술 도입이다.

 

공조시스템이란 난방, 통풍, 공기조화(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의 약자로 뜨겁거나 차가운 공기를 천장 배관을 통해 작업장 등 실내에 유입시켜 온도를 조절하거나 환기를 통해 먼지를 제거하는 설비 기술을 뜻한다.

 

런던시청 내부에는 이러한 공조시스템이 도입돼있어 건물의 냉각과 시스템에 지하수를 사용, 별도의 냉각장치가 필요 없다. 평소에는 창문을 통해 건물 내부 열기를 자연적으로 식히는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별도의 건물 냉방이 필요할 시 건물 아래쪽에서 빨아들인 지하수를 내부로 분산시켜 내부 공기를 냉각시키고 있다.

 

또 난방의 경우 외부에 있는 열을 흡수해 히트 펌프로 가열시키고, 벽을 따라 장치된 난방 시스템으로 열기를 분산시킨다. 이렇듯 공조시스템을 이용해 에어컨을 설치하지 않고도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런던시청 야간 이미지/자료=런던시청 홈페이지]

 

 

런던시청은 건물들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단순하고 획일화된 모습을 탈피한 건물의 외관과 템스강변을 따라 열거된 건물들의 스카이라인의 단조로움을 깼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디자인과 에너지 효율성을 모두 갖춘 런던시청이다.

 

#노먼포스터 #유리달걀 #런던시청 #탄소배출 #공조시스템 #템스강

 

좋아요버튼4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