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운대역세권 내 15만㎡에 이르는 물류부지를 주거‧업무‧판매‧문화 등 복합적 기능을 갖춘 동북권 신 경제거점으로 조성하는 ‘광운대역세권 개발사업’이 개발계획 확정을 위한 마지막 절차에 들어간다.
17일 서울시와 토지소유자인 코레일은 광운대역세권 개발의 핵심인 물류부지 개발계획안을 논의하고 최종 확정하는 ‘협상조정협의회’(1차)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시와 코레일에 따르면 ‘협상조정협의회’는 사전협상 전반을 총괄하고 조정하는 협상기구로, 협상의제 선정, 공공-민간 간 이해 교환 및 중재, 사안에 대한 객관적 검토, 합의 가능한 대안 도출 등을 주관한다. 공공, 민간, 외부전문가 등 총 10명으로 구성된다.
‘사전협상제도’는 5000㎡ 이상 대규모 개발부지에 대해 공공과 민간사업자가 사전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도시계획을 변경하는 제도다. 토지의 효율적 활용과 도시개발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다.
시는 상반기 중으로 사전협상을 마무리 짓고, 하반기 도시관리계획 입안‧결정 등 관련 행정절차를 거쳐 이르면 2021년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광운대역세권 개발사업’은 광운대역 일대 물류부지(토지면적 15만320㎡)에 업무‧판매, 컨벤션, 영화관 등을 포함하는 최고 46층짜리 복합건물과 2466세대 규모의 주상복합 아파트 단지를 짓는 사업이다.(연면적 40만㎡) 앞서 사전협상 과정을 통해 당초 코레일이 제안했던 최고 49층 높이를 46층으로 조정했다.
시는 개발에서 나오는 공공기여를 활용해 철도와 물류부지로 단절됐던 광운대역~월계동을 연결하는 도로를 신설하고, 문화‧체육시설, 창업지원센터 같은 생활SOC를 확충할 계획이다.
1980년대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했지만 시설 노후화와 분진‧소음으로 지역의 혐오시설로 전락한 물류시설 자리에 업무‧상업 기능을 유치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의 자족성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한편, 광운대역세권 물류시설 부지는 지난 2009년 서울시가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제도’를 도입할 당시 협상대상지로 선정됐지만 연이은 민간사업자 공모 유찰로 오랜 기간 사업추진에 난항을 겪은 바 있다. 이후 2017년 6월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시 관계자는 “과거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했지만 시설 노후화로 지역주민들의 이전 요구를 받아온 광운대역 물류시설 부지가 업무‧상업‧주거가 어우러진 동북권의 새로운 경제거점으로 재탄생한다”며 “지역의 자족력을 높이고 주변과 함께 발전하는 중심지로 만들어가기 위해 토지소유자인 코레일과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광운대역세권 #협상조정협의회 #사전협상제도 #도시계획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