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부동산&건설

2025년까지 스마트 건설 핵심기술 상용화 실현

건설장비 자동화 등 핵심기술 개발사업 6년간 총 2000억 투자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20-01-20 11:14:37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중점분야별 연계 및 디지털 정보 흐름도/자료=국토교통부]

정부가 2025년경까지 즉시 건설 현장 전반으로 보급 가능한 핵심기술 패키지를 확보해 스마트 건설 기술 선두국 반열에 진입할 계획이다. 건설산업의 생산성을 25% 이상 향상하고 공사기간과 재해율은 25% 이상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일 국토교통부는 2025년까지 약 2000억 원이 투자되는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을 올해 4월에 착수할 예정으로, 오는 2월25일까지 연구기관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건설산업의 생산성 혁신과 안전성 강화를 위해 2018년 10월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스마트 턴키사업, 스마트건설 지원센터 운영 등을 추진 중이다.

해당사업 역시 기술혁신을 위한 핵심기술 조기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사항으로, 사업의 타당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해 사업 추진이 확정됐다.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은 총 4개 중점분야(12개 세부과제)로 구성돼 올해부터 6년간 약 20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대형 연구개발(R&D) 프로젝트다.

이 사업은 △토공 장비 자동화와 다수 장비 간 협업 시공을 위한 실시간 통합관제 △BIM 기반 모듈러 시공 △로봇을 활용한 무인 원격 시공 △스마트 안전관리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시공 시뮬레이션 등 건설공정 전반을 획기적으로 혁신할 수 있는 주요 핵심기술들이 연구과제로 포함돼 있다.

[건설장비 자동화 및 관제 기술 개발 개념도/자료=국토교통부]

핵심기술 개발부터 종합적 시험적용(테스트베드)을 통한 개발기술 검증까지 총 3단계로 구분돼 추진될 계획이며, 그간 대부분 300억 원 이하였던 사업 규모를 2000억 원 대로 대폭 확대, 실제 대형 건설 현장에서의 실증을 가능케 했다.

특히 건설 분야 최초로 실제 발주되는 건설공사 사업과 R&D사업을 연구 착수 시점부터 연계해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실검증 사례(Track Record)를 확보하는 ‘건설발주 연계 연구개발 사업’으로 추진해 실용화 가능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구과제 상당수가 현재 미국·영국 등 기술 선두국에서도 아직 초기 연구단계이거나 제한적·시범적 수준으로 현장 적용 중으로 2025년경까지 이 기술들이 완성돼 건설 현장에 보급·적용될 수 있다면 기술 선두국 진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특히 “성과물의 실용화 기반을 조성하고 국내 건설시장에서의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해 기업참여와 실증을 강화했기 때문에 중소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소비자의 적극적인 사업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설계, 시공 뿐 아니라 유지관리 단계까지 건설사업 전 공정의 스마트화를 위해 각각 2000억 원 규모로 도로시설물 및 지하시설물에 대한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 개발사업도 금년 중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해 후속 추진 할 계획이다.

#스마트건설 #핵심기술 #상용화 #건설장비 #자동화 #턴키사업 #건설발주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