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심층취재

5대 전략 12개 정책과제 ‘녹색건축정책’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및 신성장동력 확보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20-01-09 16:06:31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우리나라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및 건강한 국민 삶의 터전을 위한 녹색건축물 조성 정책의 비전과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5년간의 ‘제2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이 2020년 1월부터 시행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강화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2030년 BAU 대비 18.1%→32.7%)의 선제적 이행과 제로에너지건축 등 녹색건축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립했다고 밝혔다.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은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제2차 계획의 완성도 있는 수립을 위해 지난 2014년 12월 발표한 제1차 계획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1차 계획 평가 시사점을 도출하고, 다양한 전문가로 워킹그룹(7개 전문분과 및 50여 명)을 구성해 현장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논의하고, 정책 아이디어 대국민 공모를 실시해 ‘제2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에 반영했다.

[제2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 수립 체계/자료=국토교통부]

올해 제로에너지건축 공공부문 의무화 및 2025년 민간부문 단계적 확산
기존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2배 이상 확산 및 BEMS 비용 30% 이상 절감

국토부에 따르면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녹색건축물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 지난 2013년 조사 결과 대비 녹색건축물 인지도가 약 27% 상승(45%→72%)해 사회 전반적 관심도가 높아졌다.

특히 전문가 104명 대상 제1차 기본계획의 이행결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 건축물 에너지설계기준 강화 등 신축 건축물 기준 강화 성과를 높게 평가, 기존건축물 관련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및 부처 간 협력체계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선진국 패시브건축물 수준으로 단열기준 강화 등 녹색건축물로 원천적 체질 개선을 주도한 제1차 기본계획에 이어, 제2차 기본계획에서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등 녹색건축물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두고 있다.

[제2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 추진 체계/자료=국토교통부]

‘국민생활 향상과 혁신성장 실현에 기여하고, 저탄소·저에너지 사회를 선도하는 녹색건축’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5대 전략을 제시하고, 충실한 이행을 위해 12대 정책과제, 100개 세부 실행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제2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은 △신축 건축물 에너지성능 강화 △기존 건축물 녹색화 촉진 △녹색건축산업 혁신성장 역량 제고 △국민생활 기반 녹색건축 확산 △녹색건축시장 인프라 확충 등의 주요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제로에너지건축물 조기 시장 창출을 위해 2020년 공공건축물 대상 의무화를 시행하고, 신규 혜택 발굴 및 지구·도시단위 제로에너지 건축 확산을 통해 2025년 민간건축물 의무화 대응기반을 구축한다. 또 신축 건축물의 종합적인 에너지성능 강화를 위해 에너지소비총량 기반의 허가기준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건축물 용도별, 규모별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로드맵/자료=국토교통부]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표준모델 개발, 규제완화·지원다양화를 통해 노후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시장을 현재 대비 2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또 건축물의 용도·규모·사용패턴 등을 고려해 데이터 기반으로 운영성능을 분석·진단하는 비용효율적 평가 서비스 개발, 시설관리업체의 에너지성능 역량강화를 통해 운영단계 에너지절약을 유도한다.

제4차 산업시대에 대응해 국산·보급형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기술 개발을 통해 BEMS 구축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현재 대비 30% 이상)하고, 설계, 시공, 감리, 자재·설비 등 녹색건축 관련 전후방 산업의 역량 강화 및 맞춤형 지원을 통해 녹색건축산업 기반을 확대한다.

미세먼지, 라돈 등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키는 환기설비 기준을 강화하고, 참여·체험형 녹색건축 콘텐츠를 통해 녹색건축문화도 확산한다.

[생활공간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부처 간 협업 확대/자료=국토교통부]

녹색건축 신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녹색건축 정책·기술 수출 활성화, 녹색건축 관련 업종분류체계 개선, 지역기반 녹색건축특성사업 개발 등 녹색건축시장의 재정적·행정적·인적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향후 5년간 녹색건축물 관련 전문기관인 녹색건축센터를 중심으로 지자체 및 산·학·연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제2차 기본계획의 견실한 이행체계를 운영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제1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이 녹색건축에 대한 국민 인지도 향상과 시장 형성에 기여했다면, 제2차 기본계획은 실질적인 녹색건축 시장 확대를 유도해 관련 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녹색건축물기본계획 #녹색건축정책 #제로에너지건축 #패시브건축물 #그린리모델링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