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일본 수출규제 대응 ‘기업지원 플랫폼’ 현장소통 강화

민관합동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 소부장 정책설명회 개최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20-01-07 10:57:12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라 올해부터 강화되는 소재·부품·장비 정책을 현장에 찾아가서 알리는 설명회가 내달까지 전국 각지에서 개최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일본 수출 규제 대응 및 기업 애로 해소 지원을 위해 운영 중인 민관합동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는 7일부터 ‘찾아가는 소부장 정책설명회’를 개최한다.

‘정부 R&D 부처합동 설명회(수도권)’를 시작으로 2월 초까지 15회에 걸쳐 지역 순회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 중소벤처기업 등 관련 부처를 비롯한 지역별 산업단지, 상공회의소, 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소재·부품·장비 정책을 홍보할 예정이다.

민관합동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는 일본 정부가 지난해 7월 우리나라에 대한 반도체 핵심 소재 수출규제를 단행한 이후 기업의 일본 수출규제와 관련된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수급애로를 해결하고 있다.

기업들의 원활한 소재부품 수급을 위해 특별연장근로 승인, 화학 인·허가 패스트트랙(인허가 기간 75일→30일) 등 기업의 생산시설확보, 국산화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 기업 재고물량 확보 및 국산화를 위한 시설 자금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긴급경영안정자금과 만기연장, 신규대출 등 유동성 공급도 돕고 있다.

지원센터는 조직 설치 후 △물량확보 15건 △대체처 확보 17건 △생산설비 확충 27건 △기술개발 19건 △간접피해 12건 등 총 94건의 기업애로사항을 해소했다.

[기업애로해소 지원 실적(2019년 말 누적)/자료=산업통상자원부]

향후 지원센터는 협력모델 발굴, 성과 점검 및 관리, 현장 중심 소통 확대 등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지원 플랫폼으로 수요-공급 기업 간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모델의 발굴부터 경쟁력위원회 상정까지 지원한다.

또 정부차원의 이행 실적 점검과 중점관리기업, 협력모델 수혜기업 등 수요자 측면에서 수혜 현황과 성과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소부장 관련 정부 지원책에 대한 찾아가는 설명회, 기업방문, 상담회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업들은 소재부품장비 수급과정에서의 애로뿐만 아니라, 수입 대체를 위한 국산화 추진,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업 간 협력 등 소부장 경쟁력 강화 추진 과정에서 정부의 도움이 필요할 경우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다.

#소재부품장비 #소부장 #일본수출규제 #기업지원 #현장소통 #민관합동 #소재부품수급대응지원센터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