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천군에 있는 장항도시탐험역은 장항역을 현대적으로 리모델링한 복합 문화 공간이다. 보는 각도와 빛의 양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이는 외관 덕분에, 2019년 5월 개관 때부터 눈길을 끌었다. 이후 재즈와 클래식 등 문화 공연을 수시로 기획해, 장항 주민에게 사랑받고 있다. 장항역은 1930년대 초에 열차 운행을 시작한 이래 장항읍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했으나, 2008년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되고 2017년까지 화물역으로 운영했다. 장항도시탐험역에서 먼저 돌아볼 곳은 ‘장항이야기뮤지엄’으로, 장항역과 장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엿볼 수 있다. 여기서 계단으로 올라가면 장항 시내가 한눈에 들어오는 ‘도시탐험전망대’가 기다린다. 2층에 자리한 ‘도시탐험카페’는 주민과 여행자가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다. 1층에는 놀이와 체험이 가능한 ‘어린이시공간’이 있어 가족 단위 방문자가 적지 않다. 무료로 빌려주는 자전거도 잊지 말자. 자전거를 타고 동네 한 바퀴 돌다 보면, 레트로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장항의 매력에 푹 빠진다. 장항도시탐험역 이용 시간은 오전 11시~오후 8시(토요일 오후 9시, 월요일 휴무), 입장과 주차는 무료다.
충남 서천군 장항읍 장항로161번길
충남 서천군 장항읍에 있는 장항도시탐험역은 장항의 떠오르는 스타다. 독특한 외관이 눈길을 끌고, 잔잔하게 흐르는 클래식이 마음을 사로잡는다. 이곳에서는 클래식과 재즈, 댄스 등 다양한 공연이 매주 펼쳐진다. 이색적인 건물과 달리 주변은 소박한 어촌이다. 장항도시탐험역에 앉아 있으면 시골의 아늑함과 도시의 세련미가 느껴진다.
장항역은 과거 장항선의 종착역으로, 문화와 물자가 교류하는 장소였다. 1930년대 초에 열차 운행을 시작한 이래, 장항읍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 2008년 장항화물역으로 이름을 바꾼 뒤 여객열차 운행이 중단됐고, 2017년까지 화물역으로 운영했다. 장항역이 변신한 계기는 2015년 국토교통부 공모 사업에 장항화물역 리모델링 사업이 선정되면서다. 서천군이 토지와 건물을 매입하고 건축설계에 들어갔다. 1년 남짓 공사 기간을 거쳐 2019년 5월, 현대적으로 탈바꿈한 장항도시탐험역이 문을 활짝 열었다.
개관식 날 장항 주민의 첫 반응은 ‘신기하다’였다. 알록달록한 외관 때문이다. 비밀은 들어오는 빛의 양과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색으로 보이는 3M의 다이크로익 필름(dichroic film)에 있다. 장항도시탐험역은 특별한 소재 덕분에 신선한 이미지를 안겼고, 짧은 시간에 입소문을 타고 널리 알려졌다.
장항도시탐험역의 슬로건은 ‘느낌이 있는 일상, 느낌이 있는 여행으로 초대’다. 소통의 공간인 ‘맞이홀’, 장항의 역사를 볼 수 있는 ‘장항이야기뮤지엄’,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시공간’, 여행자와 주민에게 휴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도시탐험카페’, 장항 시내가 시원하게 내려다보이는 ‘도시탐험전망대’ 등 5개 공간으로 구성된다.
입구에 들어서면 맞이홀이 있다. 장항역 대합실로 쓰이던 곳으로, 은은한 조명과 나무 바닥이 편안한 느낌을 준다. 평소 주민이 쉬거나 오가는 통로로 사용되지만, 특별한 날에는 음악과 연극, 무용 공연을 펼치는 무대로 변신한다. 1층 한쪽에 놀이와 체험이 가능한 어린이시공간이 있다.
멋들어진 곡선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핑크색 천지인 도시탐험카페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핑크색 의자에 앉으니 뮤직비디오의 주인공이 된 기분이다. 누구나 부담 없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여행자를 위한 관광 지도와 이벤트 안내 자료를 제공한다. 중절모를 쓴 할아버지가 마을 주민과 두런두런 이야기 나누는 모습에 마음이 따스해진다.
도시탐험카페 반대편에 장항이야기뮤지엄이 있다. 장항항과 장항제련소, 풍부한 바다 자원을 바탕으로 성장한 장항의 성장기와 침체기, 현재의 노력까지 살아 있는 역사를 보여주는 곳이다. 장항이야기뮤지엄 안쪽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도시탐험전망대로 이어진다. 높이 18m 전망대에서 장항 시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멀리 보이는 장항제련소 굴뚝이 번성했던 장항의 상징이다.
장항도시탐험역에 생기를 불어넣는 요소 중 하나는 문화 공연이다. 군산대학교 음악과 학생들과 함께 〈피아노 치는 기차역〉을 진행하고, 재즈와 클래식, 성악 등으로 구성한 〈콘서트 장항 오텀〉을 열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구연동화 프로그램을 선보여 큰 호응을 얻었으며, 장항선셋페스티벌 무대로 활용되기도 했다.
장항도시탐험역을 즐기는 화룡점정은 자전거 타기다. 신분증을 맡기면 무료로 빌릴 수 있다. 바구니 달린 자전거를 타고 동네 한 바퀴 돌다 보면, 장항 주민이 된 기분이다. 색다른 도시 탐험을 위한 장항도시탐험역, 장항 여행의 시작과 마무리에 안성맞춤이다. 장항도시탐험역 이용 시간은 오전 11시~오후 8시(토요일 오후 9시, 월요일 휴무), 입장과 주차는 무료다.
〈당일 여행 코스〉
장항도시탐험역→장항스카이워크→장항송림산림욕장→국립해양생물자원관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장항도시탐험역→장항스카이워크→장항송림산림욕장→국립해양생물자원관
둘째 날 / 서천군조류생태전시관→금강하굿둑관광지→신성리 갈대밭
〈여행 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장항도시탐험역 www.instagram.com/janghangtravelstation
- 서천군 문화관광 www.seocheon.go.kr/tour.do
○ 문의 전화
- 장항도시탐험역 041)956-2277
- 서천군청 문화관광과 041)950-4256
- 서천종합관광안내소 041)952-9525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장항, 서울남부터미널에서 하루 5회(07:40~16:45) 운행, 약 2시간 30분 소요.
장항도시탐험역까지 도보 약 620m.
* 문의 : 서울남부터미널 1688-0540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https://txbus.t-money.co.kr
[기차] 용산역-장항역, 무궁화호·새마을호 하루 9~10회(05:35~20:39) 운행, 3시간~3시간 20분 소요.
장항역 정류장에서 농어촌버스(서천-장항) 이용, 장항터미널 정류장 하차, 장항도시탐험역까지 도보 약 620m.
* 문의 : 레츠코레일 1544-7788, www.letskorail.com
○ 자가운전 정보
경부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서천공주고속도로→동서천 IC→장산로→물양장사거리→장항도시탐험역
○ 숙박 정보
- 문헌전통호텔 : 기산면 서원로172길, 041)953-5896, www.munheon.org
- 서천다옴리조트펜션 : 장항읍 장항산단로34번길, 041)957-0888, www.thedaom.co.kr
- 달이빛나는밤에호텔 : 장항읍 장산로, 041)956-6565, www.dalbamhotel.co.kr
- 택시호텔 : 장항읍 장산로, 041)956-3230, www.taxihotel.kr
- 호텔 카몬 : 장항읍 장산로317번길, 041)957-8899, https://kamonhotel.modoo.at
○ 식당 정보
- 유정식당 : 꽃게무침·아귀찜, 장항읍 장서로29번길, 041)956-5494
- 장항해장국 : 해장국·제육볶음, 장항읍 장마로, 041)956-1844
- 수라원 : 석쇠불고기·돼지갈비찜정식, 장항읍 장산로, 041)956-6250
- 할매온정집 : 아귀찜·아귀탕, 장항읍 장서로47번길, 041)956-4860, www.할매온정집.com
- 장항칼국수 : 동죽칼국수·소고기샤부칼국수, 장항읍 장항로172번길, 041)956-3354
○ 주변 볼거리
금강하구철새도래지, 국립생태원, 한산모시관, 서천 이하복 고택
글·사진 : 채지형(여행 작가)
#복합문화공간 #겨울철관광지 #서천 #장항도시탐험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