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도시재생 자산운용 ‘앵커리츠’ 출범

기금출자 통해 예산 확보, 탄력적 기금 운용…도시재생 활성화 기대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19-12-18 14:18:06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모자리츠 기본구조/자료=국토교통부]

정부가 도시재생에 모자(母子) 리츠(부동산투자회사)를 활용하기 위해 첫 번째 모(母)리츠인 ‘도시재생 앵커(Anchor) 리츠’를 설립한다.

국토교통부는 18일 기금 986억 원을 출자해 도시재생 앵커 제1호 ‘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를 설립·운영한다고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8월 주택도시기금법을 개정해 모자리츠에 대한 기금(도시계정) 출자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

도시재생 앵커리츠는 자금을 모(母)리츠에 우선 출자하고 모리츠가 도시재생 단위사업을 수행하는 자(子)리츠에 재출자하는 구조다.

개별 사업마다 수익성을 심사해 기금을 지원하던 기존 방식에서 자리츠 사업 전체를 포함한 모리츠를 대상으로 수익성을 심사하도록 해 수익성은 낮지만 공공성이 높은 사업에도 기금 지원이 가능해진다.

앵커리츠 도입으로 기금 출자를 통해 사업을 위한 예산을 사전에 확보해 자리츠 사업일정에 맞춰 탄력적인 기금 운용이 가능하다.

도시재생 리츠사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조정과 복잡한 행정절차 등으로 인해 개별 사업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모자리츠를 도입해 유연한 기금 운용을 통해 계획적인 도시재생사업 재원 조달이 가능해졌다.

도시재생 앵커리츠는 단기적으로는 기금이 100% 출자해 운용하고, 이후 운용 수익에 따라 안정적인 운용 단계에 들어서면 기금뿐만 아니라 민간 투자자의 모리츠 출자방안을 도입할 계획이다.

향후 앵커리츠 자본금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채권 발행 등을 통해 민간 투자자를 유치하고, 앵커리츠 주식매각 또는 상장시켜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도시재생 앵커리츠 자산을 운용할 자산관리회사(AMC)는 주택도시보증공사로 추진한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지난 11월 AMC 겸영인가를 마치고, 앵커리츠만 담당하는 전담센터를 별도 구성해 신규 도시재생 자리츠 사업 발굴에 힘쓸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도시재생 앵커리츠 도입은 지식산업센터, 임대시설,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등 복합개발 추진에 용이한 리츠사업의 활용성을 높여 도시재생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앵커리츠 #모자리츠 #도시재생 #기금운용 #주택도시기금법 #부동산투자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