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내 아바타가 가상공간에 존재 ‘공존현실’ 구현

현실과 가상세계의 공존 ‘4D+ SNS’ 플랫폼 개발

김길태 기자   |   등록일 : 2019-10-15 15:05:01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기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뛰어넘어 사용자들이 현실과 가상을 넘나들며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이 개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재)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이 다수 사용자가 공간과 감각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4D+ SNS 플랫폼(가칭)’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인체감응 연구단은 글로벌 프론티어 사업 지원을 통해 원격 인터랙션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핸드 모션캡처 디바이스, 아바타 모델링 기술 등을 개발해왔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 기존 SNS는 문자, 사진, 동영상 등을 공유할 수 있지만 사용자들의 공간과 감각을 실시간 공유하는 것에 한계가 있고, 기존 가상현실(VR) 서비스도 혼자 체험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다수 사용자들이 동시에 체험하고 소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해 인체감응 연구단이 개발한 4D+ SNS는 다수 사용자들이 공존현실에서 공간과 감각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고 소통함으로써 원격 회의, 가상 쇼핑, 미니 게임 등을 함께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협업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4D+ SNS 개념 : 집에 있는 친구(아바타)에게 3D 이모티콘을 보내고, 새로운 제품의 3D 모델을 함께 보면서 만져보고, 가구에 올려놓거나 혹은 아바타에게 착용해 보면서 상의하여 선택한 후, 결제/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용자는 자신을 대신하는 아바타로 표현돼 네트워크에 접속한 다른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과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다.

또 가상키보드를 사용해 메시지를 보내거나, 3D 이모티콘을 보내 감정을 전달하고, 가상공간에 그림을 그리거나 가상 물체를 조작하면서 토론하고 함께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가위바위보, 블록쌓기 같은 가상게임을 함께 즐기거나, 다른 장소에 있는 사용자들의 아바타들을 자신이 있는 장소로 초대해 함께 소통하고 협업할 수도 있다.

이번 플랫폼 개발로 기존 성과들을 융합·연계해 서비스 모델로 구현하게 됐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인체감응 연구단 관계자는 “이번 연구성과는 5세대(5G) 네트워크 시대의 킬러앱(Killer App)으로 떠오르는 양방향 소통 서비스, 가상·혼합 현실 서비스를 포함하는 새로운 SNS 개념을 제시한 데 큰 의미가 있다”며 “관련 기업들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사업화를 적극 추진해 4D 가상통신 서비스 신시장 창출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체감응 연구단은 ㈜에스피테크놀로지, ㈜플레이스비 및 ㈜패러렐월드와 공동연구를 수행해 플랫폼을 개발하고, 두 곳 이상의 원격지를 연결해 서비스를 자체검증한 후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