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사의 하도발주로 진행해오던 계측관리가 발주처가 직접 발주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31일 서울시는 공사에 포함해 발주하던 계측관리용역을 8월부터 분리 발주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계측관리용역을 분리 발주하게 되면 계측 품질을 높이고 정확한 계측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시는 건실한 계측 전문업체가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업체와 참여 기술인 등에 대한 일정기준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사업수행능력(PQ) 평가도 시행한다. 이를 위해 ‘건설공사 계측관리용역 사업수행능력 세부평가기준’을 마련했다.
시에 따르면 건설공사 계측은 계획·설계 단계에서부터 시공, 완공 후의 유지관리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지반 움직임과 사용부재의 변형, 지하수 분포상태 등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안전한 시공과 품질관리, 유지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간 건설공사의 계측관리는 공사에 포함해 발주했다. 이에 시공사가 직접 계측업체를 선정하다보니 시공사와 계측업체 간에 상호 견제가 곤란하고, 저가 하도계약으로 인해 계측 품질이 떨어지는 등 관리적 문제가 제기돼 왔다.
이에 서울시는 발주자, 시공사, 감리사, 계측협회 등 건설공사 관계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계측관리용역을 분리 발주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계측관리는 건설공사의 안전 시공과 사고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며 “시공사에서 관리해오던 계측관리를 발주처에서 직접 발주해 관리하게 되면 계측품질 향상에 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