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자재 방사성 물질 저감 가이드라인 설명회/자료=한국토지주택공사(LH)]
[도시미래=정범선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주택의 실내공기 중 라돈 등 방사성 물질을 저감하기 위해 국내 최초 ‘건축자재 방사성 물질 저감 가이드라인’을 수립해 이달부터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LH는 ‘라돈 매트리스’ 파동 이후 공동주택 건설에 쓰이는 ‘건축자재에서부터 라돈 방출량을 줄이자’는 기본 방향을 설정, 지난해 12월부터 주요 건축자재별 방사성 물질농도 조사, 문헌조사 등의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지난 5월 기술심의 및 6월 자재 제조사들의 최종 의견수렴을 거쳐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가이드라인에는 라돈 외에도 건축자재에 포함된 여러 자연 방사성물질의 관리 기준을 담았으며, 주요 관리대상 자재는 콘크리트, 벽돌, 도기류, 타일, 몰탈, 석고보드, 석재로 실내에 설치되는 무기성 건축자재 7개종이다.
LH는 이번 가이드라인을 통해 실증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건축자재의 국가기준 수립을 뒷받침하고, 향후DB 구축 및 관계 연구기관과의 협업으로 가이드라인을 지속 확대·발전시킬 계획이다.
공사관계자는 “최근 라돈 등 실내공기질 관련 국민적 요구에 건설기술이 부응할 수 있도록 건설관계자와 함께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향후 실증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바탕으로 이번 가이드라인을 국내여건에 맞게 최적화하고, 확대․발전시킴으로써 국민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주거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H는 이번 가이드라인 수립·시행이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절차인 만큼 주요 제조사 및 협회 관계자를 대상으로 지난 25일 LH 경기지역본부에서 설명회를 개최했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