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개발도상국의 국가 공간정보기관 공무원을 대상으로 국내 공간정보 기술을 전파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수는 한국국제협력단과 공동으로 추진되며 17일부터 2주간 라오스, 미얀마,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몽골, 벨라루스, 모잠비크, 탄자니아, 이라크 등 9개국 20명을 대상으로 한다.
국토지리정보원은 개발도상국이 우리나라의 공간정보 구축 사례를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2011년부터 작년까지 아시아, 아프리카 36개국 111명을 대상으로 연수를 실시해 왔다.
올해는 공간정보 분야 이론 및 실습을 기초로 참여국의 공간정보 기반시설 현황을 공유하고, 국내기업이 참여하는 1:1 맞춤형 컨설팅 등을 통해 국가별 현안사항 해결을 위한 실행계획을 마련한다.
연수생들은 각국의 지도 및 측량 관련 기관의 공무원이며, 지난해 연수 시 동해·독도 관련 지도를 만들어 제공하는 등 우리나라 지명 홍보에도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는 “개도국 연수가 국제사회 공간정보 인프라 성장에 기여하고, 국내기업이 해외진출을 하는데 있어서 마중물 역할을 하며 동해·독도 등 우리나라 지명 홍보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공간정보는 국토개발 및 국가발전의 토대가 되는 기초 인프라로 산사태나 홍수 등 자연재해와 범죄로부터 안전한 생활정보가 녹아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시작된 국가 GIS(Geog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체계) 사업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 접목됐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