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인프라

산업부-독일 인피니언, 시스템반도체 기술협력 논의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선도기업 인피니언과 국내 기업 협력 강화

조미진 기자   |   등록일 : 2019-05-29 11:26:38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한독 반도체 기술렵력 세미나/자료=산업부]

[도시미래=조미진 기자] 정부가 시스템 반도체 선도기업 독일 인피니언과 국내기업(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간 기술협력을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기업 인피니언테크놀로지스와 ‘한-독 반도체 기술협력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29일 산업부에 따르면 이번 세미나는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후속조치 일환으로, 국내 팹리스 등 시스템반도체 기업과 인피니언과의 기술협력을 위해 추진됐다. 또 2017년 BMW와 우리 전자부품기업간 협력 도모를 위해 마련된 ‘전자부품 글로벌 네트워킹’에 이어 반도체 분야의 양국 협력을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인피니언은 1999년 설립돼, 전력, 자동차, 보안 등 글로벌 시스템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이다. 특히, 전력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시장의 약 18%를 점유(2017년 기준)하며 2위 기업과 두 배 이상의 점유율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 차량용 반도체도 NXP(12.0%)에 이어 세계 2위(11.2%, 2018년)를 차지하고 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독일은 유럽 중 한국의 1위 교역국으로, 양국은 서로 경쟁하면서도 상생하는 관계로, 이러한 관계는 반도체 산업에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양국의 무한한 협력 가능성과 혁신적 아이디어가 반도체 분야에 충분히 발휘되고, 글로벌 기업과 기술동향 공유, 공동기술개발 등이 지속 돼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이 원활하도록 적극 지원 하겠다”고 덧붙였다.

슈테판 아우어 주한 독일대사도 “양국의 우수한 무역관계는 지식‧기술‧경제의 긴밀한 협력 덕분이며, 세미나를 통해 양국이 세계시장에서 선도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라고 기대했다.

세미나에는 인피니언 클라우스 월터(Klaus Walther)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정부관계 총괄 부사장, 인피니언 코리아 이승수 대표 등이 참석해 자율주행차, 에너지 효율, 보안 등 인피니언의 주력분야 기술개발 방향을 공유했다.

먼저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한스 아들코퍼(Hans Adlkofer) 인피니언 자동차 시스템 그룹 부사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모빌리티에서 반도체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인피니언 코리아 최재홍 상무는 차세대 반도체 아키텍쳐, 강력한 연산 능력 및 안전(fail-operational)과 보안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자율주행 플랫폼 등 자율주행을 위한 컴퓨팅 플랫폼에 대해 소개했다.

전력(에너지 효율) 면에서는 피터 프레드릭(Dr. Peter Friedrichs) 인피니언 SiC 수석이사는 신재생 에너지, e모빌리티 및 충전시스템 등의 효율적 에너지 소비를 위한 인피니언의 실리콘 카바이드(SiC), 갈륨 나이트라이드(GaN) 반도체 솔루션을 소개했다.  

보안 분야와 관련해서는 칼스틴 로친스키(Carsten Loschinsky) 인피니언 디지털보안솔루션 사업부 영업마케팅 부사장은 IoT와 커넥티드카를 위한 임베디드 보안을 주제로 아키텍쳐 설계 시 보안을 고려해야만 하는 이유를 설명했고, 김규현 인피니언 코리아 부장은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이 제공하는 이점에 대해 보안을 통한 타회사 제품과의 차별화, IP 보호, 비용 절감 등을 예로 들어 설명했다.  

세르지오 로시(Sergio Rossi) 인피니언 파워서플라이 글로벌애플리케이션팀 부사장은 인공지능, IoT, 자동화 및 첨단 자동차 애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한 실제 세계와 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는 센서 기술을 소개했으며, 박상현 인피니언 코리아 이사는 스마트센서 및 센서 퓨전을 통한 스마트 라이프, 스마트 홈에서의 음성인식 등 최근 센서 기술을 공유했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연관기사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