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도시계획

광주광역시, 도시정비사업구역 재조정 추진

재개발·재건축 목적달성 어려운 구역 일부 직권해제

정범선 기자   |   등록일 : 2019-03-26 15:08:56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정범선 기자] 광주광역시가 목적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도시정비사업 구역 일부를 재조정한다고 26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재조정은 쇠퇴한 구도심의 도시기능 회복을 위해 도시정비사업 구역으로 선정했지만, 사업성 결여로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거나 주민갈등이 내재돼 사업시행인가 전 단계에서 답보상태에 놓인 24개 구역이다.


앞서 시는 이 구역들에 대해 지난해 8월부터 5회에 걸쳐 자치구 의견조회 및 협의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지정 목적달성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정비예정구역 4곳과 공공시행자 지정을 통한 정비사업 1곳을 선정했다.


이번 재조정에서 정비(예정)구역 직권해제 대상지는 동구 학동2 재개발구역 1곳과 남구 봉선라인모아·봉선명지맨션·진월신흥타운 재건축 3곳 등이다. 공공시행자 지정을 통한 정비사업은 광산구 동·서작 재개발구역 1곳에서 추진한다.


직권해제로 선정된 대상지 3곳은 앞으로 자치구의 30일 이상 공람을 통한 주민의견 수렴, 60일 이내 지방의회 의견 수렴, 광주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이르면 6월에 정비예정구역 해제 고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공공시행자 지정을 통한 정비사업은 주민설명회 및 동의절차를 거쳐 광주시, 자치구, LH 등 관계기관 간 협약을 체결하게 된다.


또 시는 직권해제 정비예정구역의 추진위원회 운영·집행 등으로 인한 지출 비용에 대해 원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비용 검증위원회’ 검증을 거쳐 소요비용의 일부를 지원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 및 의회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정비사업구역 해제에 따른 지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각 지역만의 역사·특수성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1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