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경기도 주거종합계획 주요 내용/자료=경기도]
[도시미래=정범선 기자] 경기도가 올해 저소득층 주거안정을 위해 총 4만1000호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저소득층 21만4000가구에 주거비를 지급한다. 또, 취약계층 50가구에 최대 1억 원의 전세보증금을 지원한다.
경기도는 26일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경기도 주거종합계획안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주거종합계획은 올 한해 도가 추진하거나 도에서 진행될 예정인 공공임대주택 공급과 주거취약계층 지원 방안 등을 담은 것으로 주거기본법에 따라 매년 수립한다.
도는 이번 주거종합계획에서 △수요 맞춤형 임대주택 지속 공급 △수요자 기반 포용적 주거지원 강화 △경기행복주택 사업 속도감 있는 추진 △투명하고 효율적인 공동주택 관리문화 조성과 공동주택 품질검수 및 기술자문을 통한 부실공사 방지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 등을 올해 중점과제로 선정했다.
먼저 수요 맞춤형 임대주택 지속 공급 분야를 보면 경기도는 올해 2만900호의 공공건설임대와 매입·전세임대 1만2000호 등 임대주택 총 4만1000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수요자 기반 포용적 주거지원 강화정책으로 주거복지 전달 시스템인 광역단위 주거복지센터를 이르면 4월 경기도시공사에 설치하고 전문 인력을 배치할 계획이다.
‘경기행복주택’은 2022년 1만호 공급을 목표로 올해 사업승인 363호, 착공 4485호, 입주 1316호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25개 단지에 민간전문가와 현지합동조사를 실시하고 오래된 소규모 공동주택단지 212개소도 안전점검과 안전관리계획수립 등을 지원한다.
또 주거만족도와 건설품질 향상을 위해 실시하던 공동주택 품질검수와 보수공사에 대한 기술자문 활동을 올해 500실 이상 주거용 오피스텔까지 추가 도입한다.
도는 도시재생 뉴딜사업 9곳 선정을 목표로 국토부와 협의해 경기도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도민의 주거권 보장 등을 위해 임대주택 공급 확대, 취약계층 주거지원 강화 등 주거안정 정책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며 “정부와 시·군, 공공기관과 공조체제를 긴밀히 갖고 계획을 차질 없이 시행해가겠다”고 말했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