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지열발전 사업은 좌초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의 원인으로 당시 인근 지역에서 시범 가동되던 지열발전소가 지목됨에 따라 정부가 추진하던 신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전환정책도 일정 부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
지난 2017년 11월15일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이 인근 지열 발전소에서 촉발됐다는 정부조사단의 결론이 나왔다. 포항지진은 관측 사상 역대 2번째로 큰 규모의 지진으로 11명이 다치고, 1100억 원이 넘는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20일 정부조사연구단은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지난 1년 간의 지진 연구 결과 포항 지진이 지열발전소로 인한 ‘촉발 지진’이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연구단에 따르면 지열발전소의 물 주입이 지진의 주요 원인이 됐다. 포항지열발전소는 지하 약 4㎞ 깊이까지 두 개의 주입공(PX-1, PX-2)을 파, 그곳에 물을 주입해 거기서 생긴 열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물 주입 시 발생하는 압력과 물을 넣고 빼내는 과정에서 생기는 지반 손실이 지반을 약화시켰다고 연구단은 설명했다.
연구단은 지열발전소 부지에서 반경 5km 이내, 진원 깊이 10km 지점을 기준으로 98개 지진 목록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지열발전방식이 지진에 영향을 줬다는 결론을 내렸다.
즉 지열발전소로 인한 유발 지진이 오랜 기간 포항 지역에 미소 지진을 일으켰는데, 그 힘이 마침 발전소 아래에 있던 단층을 자극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큰 지진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연구단은 이번 지진 원인에 대해 ‘촉발 지진’이란 개념을 사용했는데, 그간 지진은 유발지진이나 자연지진이 주 쟁점이었다. 연구단은 포항지진의 경우 단순 유발 지진으로만은 설명이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포항지진은 앞선 2016년 9월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 중 역대 두 번째로 컸던 지진으로 기록됐다. 지진 원인을 두고, 인근 지열발전소로 인해 발생했다는 의견과 자연 발생이라는 의견이 대립해 왔다.
이에 정부가 포항지진과 지열발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포항지진 조사연구단’을 구성, 지난해 3월부터 약 1년 동안 정밀조사를 진행해 왔다.
현재 포항 시민들은 국가와 지열발전소에 위자료를 달라는 소송과 함께 지열발전소 중단 가처분 신청을 낸 상태다. 해당 발표 내용이 관련 소송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