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도심에 밀집한 노후 주택의 효율적 재생 방안이 제시됐다.
지난 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원도심 노후 주택지역 재생 토론회’에서 소규모 정비사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원혜영, 윤관석, 김상희, 김경협 의원 등이 공동 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정부·지자체·민간 관계자들이 참석해 소규모 정비사업의 사업성 제고 방안과 민관 협력을 통한 공영주차장 건립 모델을 제시했다.
허윤경 주택도시연구실장은 “원도심의 주택 노후화와 기반시설 부족 문제를 함께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비사업 단위 면적 상향·공공편의시설 제공에 따른 층수·용적률 완화 등 사업성을 높일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제해성 아주대 교수는 “소규모주택 재건축 시, 관·공이 건립비를 투자해 공영주차장을 추가로 건설하면 민원해소와 임대료 수익으로 상호 WIN-WIN할 수 있다”며 부천시가 추진중인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민관협력 거버넌스’를 사례로 꼽았다.
원혜영 의원은 “부천시가 추진하는 민관협력 거버넌스가 원도심 재생사업의 좋은 모델로 정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윤관석 의원은 “원도심이 도시재생의 중차대한 전환기에 놓인 만큼 오늘 논의된 내용을 국토위에 잘 반영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김상희 의원은 “난항을 겪고있는 소규모정비사업에 활력을 불어넣어 지역맞춤형 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경협 의원 의원은 “소규모정비사업의 정비면적 상향·용적률 인센티브 부여 등 개정안을 두 차례 발의했다. 속도 있는 원도심 재생사업 추진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강조했다.
kgt0404@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