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틀

HOME > NEWS > 주간특집

국민 삶의 질 개선, 5대 혁신성장 추진과제①

7대 혁신기술 확산과 건설·운수 주력산업 체질 개선

신중경 기자   |   등록일 : 2019-03-07 17:49:06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a></span><span class=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대중교통, 수소차로 단계적 전환
드론 실증도시 선정…자율주행버스 시범 운행

문재인 정부가 올 한해 전방위적인 혁신과 지역투자 확대를 통해 혁신성장을 이루고, 국민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국토 관리와 교통 서비스 제공을 통해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2019년 국토교통부 업무계획’에서 혁신성장 방안을 담은 5개 중점 추진 과제를 공개했다.

5개 중점 추진과제로는 △7대 혁신기술 확산과 건설·운수 주력산업 체질 개선 △노후 SOC 관리 강화 등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지역사업 투자 활성화 및 미래 비전 마련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복지 확산 및 안정적 시장관리 △삶의 수준을 높이는 교통 서비스 제공이다. 

‘7대 혁신기술’ 삶 속으로…수소버스 달리고 드론 일상화

먼저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선도형 경제’로 나아갈 기회라는 인식하에, 새로운 미래가치를 창출할 ‘7대 혁신기술’을 중점 확산·구현한다.

국토부는 첨단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이 될 ‘7대 혁신기술(△수소경제 △스마트시티 △드론 △자율차 △스마트건설 △제로에너지건축(ZEB) △데이터경제)’을 선정하고 시범사업, 규제혁신, 첨단기술 R&D 등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9년 국토교통부 업무계획/자료=국토교통부]

수소 대중교통과 수소도시를 양대 플랫폼으로 수소경제 생태계를 완성한다. 안정적 수요가 있는 대중교통을 수소차로 전환해 수소차를 조기 양산하고 친환경 교통체계로 전환한다. 올해 서울·부산 등 35대 운행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2000대를 도입한다. 

수소버스 충전·정비 기반시설을 갖춘 복합환승센터를 구축하고, 고속도로(2019년 10기 착공)와 행복도시(2021년 건립 세종 신(新)청사 인근)·혁신도시 등 주요 거점에 수소충전소를 본격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신도시 등을 대상으로 ‘수소 에너지 기반 시범도시’를 연내 3곳 내외 선정해 마을·도시 단위의 수소 에너지 생산-관리-이용 체계 구축의 실증에 나선다.

스마트시티는 세종·부산 국가시범도시의 부지 조성에 착수하고,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모(bottom-up)를 통해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챌린지사업’을 새롭게 도입(2019년 4월 접수·발표)한다. 

또 2020년까지 자율차 레벨3에 대비해 스마트인프라 구축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자율주행버스를 올해 10월까지 시범운행 한다. 전용 시험장인 ‘케이-시티(K-City)’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지원 지구’를 2021년까지 단계적으로 조성해 완성형 산업생태계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그간 시범사업 등을 통해 축적된 드론 운영 노하우를 도심 지역과 일상생활에서 상용화하기 위해 지자체 공모 등을 통해 ‘드론 실증도시(Drone Air City)'를 선정하고, 드론을 활용한 귀갓길 지킴이, 미세먼지 측정 등 지역 맞춤형 모델을 발굴하여 지원한다.

이 외에도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 턴키사업을 도입하고, 도시재생뉴딜사업 구역 안에 제로에너지 마을을 조성하는 등 공공 주도로 제로에너지건축을 확산한다. 이용 수요가 급증하는 빅데이터에 대해서도 국토 및 교통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정보 개방과 유통을 혁신한다.

[국토교통 7대 혁신기술/자료=국토교통부]

건설·운수 등 주력산업도 낮은 임금, 업역 규제 등 그간 누적된 문제를 극복하고 재도약 하도록 체질 개선을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 

건설산업은 지난해 마련한 ‘건설산업 혁신방안’ 완수에 힘쓴다. 업역 폐지가 현장에 뿌리내리도록 종합·전문 업역간 상호 실적인정, 발주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시급한 현안업종을 중심으로 업종체계 개편을 추진한다. 임금 직접지급제를 6월부터 공공 공사에 전면 확대 적용하는 등 일자리 개선도 지속한다.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따른 택배 시장 급성장에 대응해 ‘생활물류서비스법’을 제정하고 신규 증차, 투자지원 등을 통해 택배·늘찬배달(퀵·이륜차) 산업 발전을 본격화한다. 종사자 및 소비자 보호를 위한 사업자 책임도 강화할 계획이다.

2020년 ‘화물차안전운임’ 시행에 대비해 원가조사와 충분한 업계 협의를 거쳐 컨테이너·시멘트에 대한 안전운임을 공표한다. 

항공산업의 건실한 성장을 위해 시장질서 교란·소비자 피해 유발 등 경영윤리가 미흡한 항공사에 1~2년간 신규 운수권 배분을 제한하는 등 경영문화 개선을 유도한다. 사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항공기 정비사업(MRO)에 본격 착수하여 신산업 육성도 속도를 낸다. 

부동산산업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우량 공모·상장리츠에 주택도시기금 여유자금 투자를 확대하고 공모·상장 중심 제도정비 등 ‘부동산투자법’을 전면 개정, 리츠를 활성화한다. 

국토교통 좋은 일자리 창출도 이어나간다. 올해 국토부 산하 23개 공공기관 소속 약 650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국토교통일자리 로드맵’의 집행과 보완도 철저히 할 계획이다. 

건설 분야 청년 인재 육성을 위해 특성화고등학교의 취업현장 연계 교육을 확대하고 유수 건설기업 취업 매칭을 강화하여 새로운 고용 루트를 지원한다. 지난해 마련한 항공 조종분야 ‘先선발-後교육’의 수혜대상을 넓히고 정비 분야까지 확대한다.

journalist.gil@hanmail.net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

좋아요버튼0 싫어요버튼0

이 기사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이 기사를 프린트하기 목록으로 돌아가기

도시미래종합기술공사 배너광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