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미래=조미진 기자] 해외에서 절반이상이 이뤄지던 항공기 정비가 국내에서 본격 시작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항공서비스(KAEMS)는 첫 민간 항공기 정비입고 및 사업 착수 기념행사를 21일 KAEMS 경남 사천 사업장에서 개최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KAEMS는 국토부의 사업계획 타당성 평가를 거쳐 지난 2017년 12월 정부지원 항공 MRO 사업자로 선정된 KAI를 포함 7개 기업의 자본금 투자로 설립됐다.
MRO는 항공기의 기체, 엔진, 부품 등에 대한 정비를 뜻한다.
국토부 정비능력인증 심사 및 국내 LCC 항공사인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이 실시한 심사결과 항공기 정비 역량이 충분한 것으로 확인됐다.
KAEMS는 이번 사업 착수를 계기로 국내 항공사 대상 정비수주를 시작해 올해 안으로 국내 LCC 항공기 19대 및 90억 원 규모 군용기 정비물량을 수주할 계획이며, 미연방항공청의 항공기 수리사업장 인가를 취득하는 오는 7월부터 중국, 일본 국적 항공기 수주 등 해외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또 KAEMS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약 9.4만평의 항공정비 중심 산업단지가 2022년까지 조성될 계획이며, 2026년까지 일자리 2만여 개, 5.4조 원의 생산유발효과 창출이 예상된다.
그간 국내 항공사들은 국내 정비업체 부재로 절반이상의 물량을 해외업체에 맡겨왔으나, 국내정비가 가능함에 따라 2026년까지 약 1.68조 원의 수입대체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KAEMS의 본격 항공 MRO 사업 착수는 그간 자가 정비체제에 머물렀던 국내 항공 MRO 산업을 전문기업 중심의 글로벌 체제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청년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향후 MRO 전문기업에 대한 관세감면 등 세제지원, R&D 기술지원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지속 추진해 국내 MRO 산업육성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happiness@urban114.com
<무단전재 및 배포금지. 본 기사의 저작권은 <도시미래>에 있습니다.>